[씨줄날줄] 20대 울화병/박현갑 논설위원

[씨줄날줄] 20대 울화병/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22-06-06 20:32
수정 2022-06-07 02: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개인의 이익과 그 개인이 속한 집단의 이익이 상충할 때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하면 개인주의 사회이고, 개인적 이해관계보다 집단의 이익을 먼저 고려하면 집단주의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는 집단주의적 사고 경향이 강하다. 반면 서구사회는 개인주의 문화가 강하다. 1997년 외환위기 때의 국민 금 모으기 운동, 2002년 월드컵 거리 응원, 코로나19 발생 초기 불편을 감수하며 온 국민이 마스크를 착용한 건 집단주의 성향의 긍정적 사례였다.

집단주의 문화는 그러나 부정적 폐해도 적지 않다. ‘화병’이 그러한 경우다. 화병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건과 관련돼 나타나는 분노와 억울함 등의 부정적 정서가 해소되지 않은 채 누적돼 나타나는 만성화된 분노증후군이다. ‘울화병’이라고도 한다. 화병에 걸리면 답답함, 숨 막힘, 두통, 몸과 얼굴의 열기, 화끈거림, 소화장애, 목과 가슴에 덩어리가 있는 느낌 같은 증상이 신체에 나타난다. 심리적으로는 우울, 불안, 신경질, 짜증, 과민함, 무기력 등을 보인다. 권위적이고 수직적 인간관계가 중시되는 사회일수록 이러한 화병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20대 화병 환자 증가 추이가 예사롭지 않다. 지난 5년(2015~2019)간 화병 환자는 11만 3704명에서 16만 2630명으로 43% 증가했다. 특히 20대 환자는 1만 5412명에서 2만 7323명으로 77% 증가해 전체 연령대 중 1위를 차지했다. 화병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청년층보다는 중장년층에서 더 잦은 게 일반적이다.

보건사회연구원은 그 원인으로 사회문화 요인을 꼽는다. 2000년대 이후 화병 연구들을 메타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 등 개인의 심리정서적 요인과 고부관계나 부부관계 등 가족관계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관계, 사회문화 요인도 화병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공정성과 정당성 요인들이 화병 증상과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2030을 중심으로 국민적 분노를 부른 조국 사태나 이번 정부 인사청문회에서 불거진 ‘아빠 찬스’ 논란 같은 절차적 공정성 부재가 젊은층의 울화병을 키우고 있었던 셈이다. 울화병 요인을 최소화할 정치를 기대해 본다.

2022-06-0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