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가비의 변신, 청년들의 혁신

조가비의 변신, 청년들의 혁신

김정화 기자
입력 2022-03-06 20:50
수정 2022-03-07 09: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뉴탭22’ 문지희·최혜인 작가

한국서 폐기되는 패각 年 30만t
세척·가공해 천연 재료와 합성
“바닷가 주변의 해양 오염 개선
친환경 문진·실내 마감재 활용”

이미지 확대
디자인 스튜디오 ‘뉴탭22’의 최혜인(왼쪽)·문지희 작가는 버려진 조개 껍데기를 신소재로 활용해 문진, 타일, 필통, 장식용 공예품 등을 만든다. 친환경 공법을 이용하는 이들은 “앞으로 패각을 이용한 제품을 더 많은 사람이 활용하고, 장기적으로 바닷가 지역의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서울디자인재단 제공
디자인 스튜디오 ‘뉴탭22’의 최혜인(왼쪽)·문지희 작가는 버려진 조개 껍데기를 신소재로 활용해 문진, 타일, 필통, 장식용 공예품 등을 만든다. 친환경 공법을 이용하는 이들은 “앞으로 패각을 이용한 제품을 더 많은 사람이 활용하고, 장기적으로 바닷가 지역의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서울디자인재단 제공
“우리는 어마어마한 양의 소비, 생산과 함께 ‘폐기물의 시대’에 살고 있다고 생각해요. 디자이너, 예술가로서 제품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더 깊게 고민하고 환경에 보탬이 되고 싶었습니다.”

디자인 스튜디오 ‘뉴탭22’의 문지희·최혜인 작가는 최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들은 서울 동대문구 DDP 갤러리문에서 열리고 있는 디자인전 ‘머티리얼 컬렉티브’에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새로운 예술의 소재를 탐구하는 취지에서 기획된 이 전시는 5개 팀(개인)이 참여해 폐목재, 펠트, 비닐봉지, 천연 레진 등을 활용해 무궁무진한 가능성과 확장성을 보여 준다. 자연에서 가져온 재료, 쓰고 버려진 산물도 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디자인 스튜디오 ‘뉴탭22’의 최혜인·문지희 작가가 버려진 조개 껍데기를 신소재로 활용해 문진, 타일, 필통, 장식용 공예품 등을 만든다.  서울디자인재단 제공
디자인 스튜디오 ‘뉴탭22’의 최혜인·문지희 작가가 버려진 조개 껍데기를 신소재로 활용해 문진, 타일, 필통, 장식용 공예품 등을 만든다.
서울디자인재단 제공
그중 문·최 작가는 버려지는 조개 껍데기를 재료로 활용해 제품을 만든다. 영국 왕립예술대학원 석사 과정에서 만난 이들은 “유학 시절 단순히 제품 디자인이 아니라 각자의 흥미와 사회적 이슈를 합해 기존에 없던 혁신을 만드는 게 목표였다”며 “아티스트도 미래의 환경과 사회를 위해 지속 가능한 소재, 디자인에 신경 써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의기투합한 이유를 밝혔다.

작가들은 2019년부터 패각을 신소재로 만드는 ‘시 스톤 프로젝트’를 통해 밀라노 디자인 박람회에 초청받는 등 해외에서 먼저 주목받고 있다. 문 작가는 “어린 시절 바닷가 근처에 살면서 가리비, 전복, 소라 등 수많은 패각이 버려지는 걸 봤고, 그걸 활용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에서만 매년 버려지는 패각이 30만t, 처리하는 데는 200억원 이상이 든다고 한다.

바닷가에서 썩어 주변 해양 오염의 원인이 되는 패각이 반짝이는 작품으로 변신하는 데는 1~2주가 걸린다. 양식장이나 레스토랑에서 버려진 것을 모아 세척해 염분을 제거하고, 적절한 비율로 가공한 뒤 분쇄한 다음 천연 재료들과 배합해 압축한다. 최 작가는 “콘크리트 같은 합성 물질에 섞지 않고 천연 재료를 활용하는 등 소재 개발부터 디자인, 제품 생산까지 모두 직접 참여해 친환경적 방식을 고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럽에서는 비건 가죽을 개발하거나 해조 추출물로 일회용 대체 플라스틱을 만드는 등, 합성 물질에 재료를 섞는 것보다 소재의 원료 자체에 주목하는 경우가 많다”며 “한국에서도 앞으로 지속 가능한 디자인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이 이어지면 좋겠다”고 했다.

환경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고열을 이용한 작업은 하지 않는데, 그렇다 보니 제품의 종류는 아직 한정적이다. 문진이나 플레이트, 타일 등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 문 작가는 “그릇, 화분 등 물에 매일 담가 두는 제품은 만들기가 어렵지만, 유해 물질이 전혀 나오지 않아 실내 마감 건축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두드러진다”면서 “앞으로는 압축하는 방식 외에 시멘트처럼 개어 바르는 타입으로 개발해 가구나 벽 등에도 접목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오는 20일까지.

2022-03-07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