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행사 관행 과잉반응 조선 영조
코미디 같은 사대주의로 망신살
새 정부 국격 맞게 중국 상대해야
정재정 광주과학기술원 초빙석학교수
영조가 연행사에게 말을 타라고 명한 데는 곡절이 있었다. 청 건륭제는 1763년 6월 조선에 가는 칙사에게 가마 대신 말을 타라고 명했다. 만주인이 본디 말을 잘 타는 데다 중대 사명을 띤 자가 편하게 다녀서는 안 되고, 외번(外藩) 조선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다는 게 이유였다. 실제로 청 사신 홍영 일행은 조선에서 가마를 타지 않았다. 영조는 건륭제가 조선을 어여삐 여긴다고 감복해 충심으로 사의를 표했다. 그리고 연행사로서 감히 가마를 탈 수 없으니, 말을 타라고 지시했다.
며칠 후 영조는 평안도 관찰사와 의주 부윤이 올린 장계에서 정사·부사가 수레를 탔다는 구절을 읽고 깜짝 놀랐다. 청에 지레 겁을 먹고 기가 죽은 영조는 의주 부윤을 유배하고 평안도 관찰사를 파직했다. 그리고 청의 환심을 사기 위해 장채유를 베이징에 급파해 신하를 닦달하고 처벌하겠다며 호들갑을 떨었다. 그때까지 청은 연행사가 수레를 타는 일을 전혀 문제삼지 않았다. 그렇지만 영조가 벌을 내리라고 요청한 이상 황제에게 보고하지 않을 수 없었다.
건륭제의 반응은 뜻밖이었다. 칙사는 원래 말 타는 데 익숙한데, 편안을 좇다 보면 체통을 잃을 수 있어 가마 대신 말을 타라고 명했단다. 반면에 조선 사신은 토속(土俗)에 따라 수레를 탔으니 처벌해서는 안 되며, 앞으로도 베이징을 드나들 때 수레를 이용하라고 허락했다. 영조는 머쓱했다. 영조의 과잉 반응은 청의 습속과 건륭제의 속내를 모른 채 그저 눈치만 살피며 섬기는 데 익숙한 사대주의 외교가 빚은 눈물겨운 코미디였다.
건륭제는 조선의 부담을 덜어 주기보다는 청의 법도를 지키기 위해 칙사의 가마 타기를 금지했다. 청은 수백만 명의 만주족이 수억 명의 한족(漢族)을 지배하는 국가였다. 정신 똑바로 차리지 않으면 만주족이 한족에 녹아들어 세력을 잃게 마련이다. 동화의 함정이었다. 몽골은 유라시아대륙에 전무후무한 세계제국을 건설했지만, 한화정책(漢化政策)을 추진하다 중국을 통치한 지 100년도 안 돼 만리장성 이북으로 쫓겨났다. 유목민족의 기상을 잃었기 때문이다.
청은 몽골의 실패에서 교훈을 얻었다. 그리고 만주족 고유의 법도, 곧 국어(만주어), 기사(騎射·말타기와 활쏘기), 검박(儉朴·검소하고 소박한 생활)을 지키는 데 온 힘을 쏟았다. 유목민족으로서의 상무(尙武) 정신과 강건한 생활습관 준수를 국책의 근간으로 삼은 것이다. 건륭제는 매년 가을 열하(熱河) 북쪽 사냥터 무란에서 대규모 몰이사냥을 벌여 모범을 보였다.
오늘날 한국은 어떠한가. 시대도 세상도 바뀌었다. 무엇보다 한국의 위상이 달라졌다. 세계 10위권 경제부국 군사강국이다. 게다가 중국에는 없는 자유ㆍ민주ㆍ인권을 향유하고, 세계 최강 미국과 동맹을 맺고 있다. 중국에 지레 겁먹고 기죽을 까닭이 없다. 그런데도 왜 중국 앞에 서면 작고 약해지는가. 은연중에 한국 지도층이 아직도 중화 사대주의에 물들어 있는 게 아닐까. 올해부터 영조와 같은 정신 장애에서 벗어나 국가의 품격에 맞게 중국을 상대하는 한국을 보고 싶다.
2022-02-07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