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근데 퍼뜩 이런 생각이 든다. 어려운 한자가 몇 개 있지만 이 정도도 못 읽나. 이런 생각을 하는데 문자가 다시 왔다. “아빠! 심심하지?” “○○아! 모르는 거 있으면 다 물어봐.” 기다렸다는 듯 사진 한 장이 왔다. 이번엔 아예 한 문장이다. ‘特徵은 口傳性이라서 流動的이며 可變的이다.’ “적(的)밖에 못 읽겠어.” “특징은 구전성이라서 유동적이며 가변적이다. 뜻은 알지?” “한글은 나도 알아.” 야멸차게 톡 쏘아붙인다. 오랜동안 쌓은 점수를 한꺼번에 날린 듯하다.
사실 요즘 20대가 한자를 모르는 건 당연하다. 학교에서 제대로 안 배웠으니 모를 수밖에. 그래도 걱정은 된다. 우리말의 70%는 한자어다. 한자를 잘 알면 동음이의어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무운’(武運·전쟁 등에서 이기고 지는 운수)을 ‘무운’(無運·운이 없음)으로 잘못 이해해 망신당할 일도 없다.
2021-11-22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