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주도·비대면 소비 트렌드 정착
8일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연간 거래액 1조 2000억원에 달하는 패션 쇼핑 플랫폼 무신사의 기업 가치는 2조 5000억원에 달한다. 월간 이용자 수(MAU)는 최대 400만명, 누적 가입자 수는 900만명에 이른다.
무신사의 성장 비결로는 10대 후반, 20대 초반 남성을 겨냥한 신생 브랜드 발굴 경쟁력이 꼽히는데 최근에는 여성 패션이 강점인 스타일쉐어와 29CM을 인수하고 명품, 골프 패션 품목을 강화하는 등 전방위적인 패션 쇼핑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업계는 올해도 무신사가 무난하게 연간 최대 거래액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한다. 실제 무신사의 올해 상반기(1월~6월) 거래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40% 증가했다. 조만간 기업공개(IPO)를 하지 않겠느냐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신세계그룹의 SSG닷컴이 인수한 W컨셉도 디자이너 브랜드를 앞세워 무신사를 쫓고 있다. 회원 수 500만명, 연간 거래액 3000억원으로 아직 무신사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신세계의 오프라인 뷰티 플랫폼 시코르 등과의 향후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올 초 카카오가 인수한 동대문 의류 기반 여성 패션 전문 플랫폼 지그재그도 올해 거래액 1조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빅모델을 앞세운 명품 패션 전문 플랫폼에도 투자금이 쏠리고 있다. 최근 배우 김혜수를 모델로 앞세운 발란은 지난 10월 거래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0% 증가하는 등 급성장했다. 지난달 21일에는 325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 데도 성공했다.
또 다른 명품 패션 전문 플랫폼인 머스트잇, 트렌비도 각각 280억원, 400억원의 누적 투자금을 유치하면서 꾸준히 가능성을 증명했다. 오프라인 명품 매장의 ‘오픈런’(매장 개장과 함께 뛰어가는 현상)을 피해 편리하고 합리적인 가격에 제품을 사려는 소비자의 대체 수단으로서 이들 플랫폼이 인기를 얻고 있다는 설명이다.
상황이 이렇자 패션 대기업들도 자사 온라인 몰을 개편하고 콘텐츠를 강화하는 등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단순히 자사 상품만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브랜드를 유치해 무신사, 지그재그 등 온라인 패션 쇼핑 플랫폼의 약진에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비주류였던 온라인 패션 플랫폼이 대형 패션업체를 위협할 만큼 몸집이 커졌다”면서 “성장 가능성 큰 산업인 만큼 주도권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2021-11-0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