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의 서울문화재 ‘훈민정음’,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말모이 원고’

10월의 서울문화재 ‘훈민정음’,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말모이 원고’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1-10-15 14:30
수정 2021-10-15 14: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는 10월의 서울문화재로 ‘훈민정음’,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말모이 원고’를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서울시는 매월 15일, 그 달과 관련 있는 문화재를 카드 뉴스 형태로 제작해 소개하고 있다.
말모이 원고
말모이 원고 서울시 제공
훈민정음은 우리나라 국보이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1446년에 반포된 우리글 훈민정음의 한문 해설서이다. 책 이름을 글자 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부른다.

훈민정음에는 훈민정음의 창제목적, 이유 등도 기록돼 있다. 500년 가까이 자취를 감추었던 ‘훈민정음’은 1940년 경북 안동에서 발견됐다. 그 소문을 들은 고 간송 전형필 선생이 당시 1만원(서울 기와집 10채 가격)을 주고 구입해 세상에 알려졌고, 현재 간송미술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2007년 보물로 지정된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는 노원구에 위치한 문화재로, 한글이 쓰인 우리나라 최초의 묘비로 알려져 있다. 이 비석은 조선 명종 때 문신인 이문건이 1536년에 아버지 이윤탁의 묘를 어머니의 묘와 합장하며 세운 묘비다. 비석 왼쪽 면에 ‘신령한 비다. 쓰러뜨리는 사람은 화를 입을 것이다. 이를 한문을 모르는 사람에게 알리노라’라는 뜻의 경고문이 한글로 적혀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사전인 ‘말모이’의 출간하기 위해 작성한 원고인 ‘말모이 원고’는 지난해 보물로 지정돼 현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조선광문회’가 주관하고 한글학자 주시경과 그의 제자 김두봉, 이규영, 권덕규가 참여하여 만든 말모이 원고는 1911년부터 1914년까지 집필이 이루어졌다.

말모이는 ‘말을 모아 만든 것’이라는 의미로 ‘사전’을 뜻하는 순우리말로 본래 여러 책으로 구성되었을 것을 추정되지만 현재는 ㄱ부터 ‘걀죽’까지 올림말(표제어)이 수록된 1책만 전해지고 있다. 말모이 원고는 한글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었던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말과 글을 지키려 한 노력의 산물로, 현존 근대 국어사 자료 중에 유일하게 사전출판을 위해 남은 최종 원고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있다.

이희숙 시 역사문화재과장은 “10월의 서울문화재는 한글날을 기념해 자랑스러운 우리글인 한글과 관련된 문화재로 선정했다”며 “이번에 선정된 문화재를 통해 한글의 우수함과 위대함을 다시한번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