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한 삶은 나에게 기쁨과 때로는 슬픔을 안겨줬지만, 더없이 소중하고 아름다움이었다. 그리고 가보지 않은 길은 고통과 아픔이 없는 유토피아 이길 바란다.”
청명한 하늘과 황금빛 햇살이 물결 치는 어느 가을날.코로나 19 장기화로 가뜩이나 지친 마음과 몸을 달래고 싶다. 파도와 뭉게구름을 싣고 피아노 선율에 묻어나오는 쇼팽의 즉흥환상곡과 진한 에스페레소 향에 답하듯 전시실 하얀 벽에 나지막하게 걸린 기억과 추억의 편린들...
동해가 내려 보이는 부산 해운대 청사포 갤러리에서 권영술 작가의 개인전이 지난 1일부터 열리고 있다.
전시회 주제는‘ 호접몽 (DREAM OF THE BUTTERY)’.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일컫는다. 중국의 장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보니 꿈이었다는 것.
그는 “ 삶에 대한 본질과 가치, 방향에 대한 고민과 생각들을 작품에 담고 싶었다”며 “ 마치 일기를 쓰듯이 하루하루를 더해가며 오랜 시간 켄버스의 흰 여백을 채웠다.”라고 말했다.
자신의 얼굴과 몸을 형상화한 부처님 모습을 회화적으로 표현한 점이 눈에 띈다.
종교적 의미보다는 이 세상을 살다간 많은 사람 중에서 깊은 사유를 한 인물의 형상을 빌려왔다고 설명했다. 몸 안에는 현재 상황, 즉 호수 산 강 깊은 계곡과 가보지 않은 곳에 대한 동경을 담아 잠시 머물고 싶은 곳을 담았다.
작가는 “부처상을 한 자화상은 인간 역사상 깨달음과 고뇌의 상징인 부처상을 빌어와 인간의 욕망과 삶에 대한 물음을 던지는 과정을 나타냈다.”라고 밝혔다.
또 의미를 부여한 이미지들을 시간과 중력을 없앤 가상공간에 던지듯 배치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넘나들게 했다. 이렇듯 파편처럼 던져진 듯한 건물, 인물 등의 이미지들은 묘하게 이어져 여러 이야기를 만들어내면서 마치 꿈속의 세상인 듯하기도 하고 기억의 조합인 것 같기도 한 화면을 만들어내고 있다.
작가는 “ 생각과 상상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다며 그래서 사물과 형상을 거꾸로 나타냈다. 작은 것은 크게, 큰 것은 작게 담아 하는 중첩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현 기법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화면의 중심에 있는 소파, 정자는 이 세상에 잠시 머문 삶이자 공간, 산, 바다, 강은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의미한다. 삶의 과정을 걸어오며 보이지 않는 경계의 선을 넘나들기도 하고, 끝이 없을 것 같은 사막을 걷기도 하며 얻은 사색적 경험에 상상력을 더한 작업은 기존의 회화의 틀을 버리고 자신만의 시각언어를 선보인다.
작가는 말한다. “내 그림은 한순간 짧게 보고 느끼기보다는 조금씩 깨알 같은 글들을 읽어 내려가듯이 봐주었으면 한다. 내 그림은 내가 가지고 있는 시각적인 언어로 내가 만든 가상의 공간을 한뼘 한뼘 채워 나간 것이기 때문이다” .
전시회는 오는 20일까지 열린다.삶의 본질과 가치에 대해 질문하는 내용의 작품 30여점이 전시돼 있다.
권 작가는 동아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했으며, 예술학 박사를 수료했다. 한국과 일본에서 16회의 개인전과 국내·외 100여 회의 기획 및 단체전을 열었다. 재봉틀을 이용해 선을 박고 천을 꿰매는 콜라주 기법인 머신 드로잉 작가 조현서 씨가 그의 아내로 부부 화가이다.
청명한 하늘과 황금빛 햇살이 물결 치는 어느 가을날.코로나 19 장기화로 가뜩이나 지친 마음과 몸을 달래고 싶다. 파도와 뭉게구름을 싣고 피아노 선율에 묻어나오는 쇼팽의 즉흥환상곡과 진한 에스페레소 향에 답하듯 전시실 하얀 벽에 나지막하게 걸린 기억과 추억의 편린들...
권영술 작가의 개인전이 오는 20일 까지 해운대 청사포갤러리서 호접몽이라는 주제로 열린다. < 호접몽/ 60x60cm / acrylic colors on canvas/ 2020 .작가 제공>
동해가 내려 보이는 부산 해운대 청사포 갤러리에서 권영술 작가의 개인전이 지난 1일부터 열리고 있다.
전시회 주제는‘ 호접몽 (DREAM OF THE BUTTERY)’. 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일컫는다. 중국의 장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보니 꿈이었다는 것.
권영술 작가의 개인전이 오는 20일 까지 해운대 청사포갤러리서 호접몽이라는 주제로 열린다. < 호접몽.직가 제공>
자신의 얼굴과 몸을 형상화한 부처님 모습을 회화적으로 표현한 점이 눈에 띈다.
종교적 의미보다는 이 세상을 살다간 많은 사람 중에서 깊은 사유를 한 인물의 형상을 빌려왔다고 설명했다. 몸 안에는 현재 상황, 즉 호수 산 강 깊은 계곡과 가보지 않은 곳에 대한 동경을 담아 잠시 머물고 싶은 곳을 담았다.
작가는 “부처상을 한 자화상은 인간 역사상 깨달음과 고뇌의 상징인 부처상을 빌어와 인간의 욕망과 삶에 대한 물음을 던지는 과정을 나타냈다.”라고 밝혔다.
또 의미를 부여한 이미지들을 시간과 중력을 없앤 가상공간에 던지듯 배치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넘나들게 했다. 이렇듯 파편처럼 던져진 듯한 건물, 인물 등의 이미지들은 묘하게 이어져 여러 이야기를 만들어내면서 마치 꿈속의 세상인 듯하기도 하고 기억의 조합인 것 같기도 한 화면을 만들어내고 있다.
작가는 “ 생각과 상상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다며 그래서 사물과 형상을 거꾸로 나타냈다. 작은 것은 크게, 큰 것은 작게 담아 하는 중첩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현 기법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화면의 중심에 있는 소파, 정자는 이 세상에 잠시 머문 삶이자 공간, 산, 바다, 강은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의미한다. 삶의 과정을 걸어오며 보이지 않는 경계의 선을 넘나들기도 하고, 끝이 없을 것 같은 사막을 걷기도 하며 얻은 사색적 경험에 상상력을 더한 작업은 기존의 회화의 틀을 버리고 자신만의 시각언어를 선보인다.
작가는 말한다. “내 그림은 한순간 짧게 보고 느끼기보다는 조금씩 깨알 같은 글들을 읽어 내려가듯이 봐주었으면 한다. 내 그림은 내가 가지고 있는 시각적인 언어로 내가 만든 가상의 공간을 한뼘 한뼘 채워 나간 것이기 때문이다” .
권 작가는 동아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했으며, 예술학 박사를 수료했다. 한국과 일본에서 16회의 개인전과 국내·외 100여 회의 기획 및 단체전을 열었다. 재봉틀을 이용해 선을 박고 천을 꿰매는 콜라주 기법인 머신 드로잉 작가 조현서 씨가 그의 아내로 부부 화가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