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에 국제 리더십 실종… 美·中 ‘신냉전’ 폭풍을 대비하라

팬데믹에 국제 리더십 실종… 美·中 ‘신냉전’ 폭풍을 대비하라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1-03-11 17:18
수정 2021-03-12 02: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정인의 미래 시나리오
문정인 지음/청림출판/368쪽/1만 7000원

“흙먼지의 1000분의1밖에 되지 않는 바이러스균이 지구상 가장 강력한 국가를 능욕하며 초라하게 만들고 있다.” 미국 언론인 에드 영의 이 표현은 코로나19가 기존 세계 질서를 어떻게 흔드는지 보여 준다. 경제, 정치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것은 물론 미중 간 패권 경쟁도 심화시키고 있다. 이미 ‘신냉전’을 예고한 전문가들도 많다.

문재인 정부 출범부터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직을 지내고 지난달 외교·안보·통일 분야 싱크탱크인 세종연구소 이사장으로 자리를 옮긴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는 ‘문정인의 미래 시나리오’에서 팬데믹 이후 기존 이론의 틀을 벗어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강조한다. 안보와 전쟁에 대한 개념이 달라지고 국제 리더십이 실종되는 상황에서 책은 국제 정세와 한국의 전략을 차례로 짚는다.

향후 가능한 미래 시나리오는 크게 5가지다. 미중 사이 느슨한 ‘현상 유지’부터, 자급자족적 경제와 폐쇄 사회로 전환되는 ‘성곽 도시와 새로운 중세’, 유엔과 다자주의를 통한 세계 평화를 의미하는 ‘팍스 유니버설리스’, 미국 중심의 ‘팍스 아메리카나’, 빠른 경제 회복을 발판으로 중국이 중심에 서는 ‘팍스 시니카’다. 바람직한 방향은 ‘팍스 유니버설리스’지만 현실적으로는 현상 유지가 설득력이 가장 크다. 코로나19 사태로 미중 대결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틈새에 놓인 한국에는 한미동맹 강화, 중국 편승, 홀로서기, 현상유지, 초월적 외교 등 선택지가 놓일 수 있다. 신냉전 구도로 휘말릴수록 선택에 대한 압력은 강해진다. 문 이사장이 제시한 대안은 초월적 외교다. 미중 진영 외교의 굴레에서 벗어나 다자 협력과 지역 통합의 새로운 질서를 만들고, 그 질서 속에서 새로운 외교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명민하고 원칙에 기초한 ‘결기 있는 외교’라면, 새 도전도 슬기롭게 헤쳐 나갈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도 덧붙인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21-03-1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