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인들 애로사항 1위는 ?....공공장소 및 시설 동반 출입 제한꼽아

반려인들 애로사항 1위는 ?....공공장소 및 시설 동반 출입 제한꼽아

김정한 기자
입력 2021-02-18 10:58
업데이트 2021-02-18 1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려동물 양육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부산시민들은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면서 겪는 애로사항으로 공공장소 및 시설 동반출입제한과 이용 제한을 가장 많이 꼽았다.

부산연구원은 ‘부산광역시 반려동물 양육 현황과 관리방안’보고서를 18일 발표했다. 부산경상대 최동락, 김수진 반려동물보건과 교수팀이 수행했다.

최 교수팀은 부산지역 반려인 503명, 비반려인 561명 등 1064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시민의식을 조사했다. 반려인과 비반려인을 함께 조사한 것은 부산에서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반려동물 양육현황은 반려견 양육(65.6%)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반려견과 반려묘를 같이 키우는 가정(16.5%), 반려묘만 키우는 가정(12.7%)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인들의 애로사항은 ‘공공장소 및 시설 동반출입제한 및 이용제한‘이 61.4%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문제행동 사회적 문제’(50.7%), ‘사후처리문제’(37.0%), ‘입양단계 정보부족’(28.0%), ‘가족 간의 불화’(3.2%)순으로 조사됐다.

반려인 응답자중 360명은 월 평균 지출 비용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비용을 병원진료비로 꼽았다.

‘수술·입원 및 질병 진료비’가 69.2%(249명)로 가장 높았으며 ‘일반 검진비’(11.9%), ‘예방 접종비’(15.3%) 순이었다. 병원진료비 응답자들은 ‘진료비 및 예방접종비용 지원정책’(53.6%)을 가장 많이 원했다. ‘부분적 공공동물보험도입’(30.0%), ‘지자체별 공공의료서비스센터 설립 운영’(14.4%) 등을 꼽은 응답도 있었다.

반려동물 등록 여부는 ‘등록’이 71.0%, ‘미등록’이 29.0%로 나타났다. ‘등록’ 이유는 ‘유실방지’(67.0%), ‘건강관리’(16.1%), ‘사후관리’(13.7%)를 꼽았다.

응답자 대부분은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면서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감 여부에 대해 ‘예’는 97.8%, ‘아니오’는 2.2%였다. 반려인과 비반려인의 공존을 위한 우선 과제에 대해서는 ‘반려동물과 공존에 대한 시민의식 개선’(63.2%)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반려인에 대한 책임 강화’(45.3%), ‘반려동물 양육 관련 필수 소양교육 규정 도입’(43.7%), ‘동물사랑 범시민 캠페인 운동의 활성화’(15.1%)가 뒤를 이었다.

최동락 교수는“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유기, 학대, 다중시설 이용 제한, 물림 사고, 반려인과 비반려인의 갈등 등의 사회적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며“부산시의 반려동물 보호와 효율적 관리를 위한 법과 제도, 정책을 검토해 반려동물 관련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산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