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경의 문화읽기] ‘미나리’와 영화의 국적

[홍석경의 문화읽기] ‘미나리’와 영화의 국적

입력 2021-02-10 20:48
수정 2021-02-11 0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홍석경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홍석경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할리우드 외신기자협회가 수여하는 골든글로브상에서 ‘미나리’가 외국어영화상 후보로 선정되며 흥미로운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미나리’는 제작사와 배급사가 미국 회사이고 한국계 미국 감독이 한국계 미국인 배우와 한국 배우들을 기용해 만든 자전적 이민 가족 이야기다. 이미 수많은 영화제에서 최대의 관심을 받던 ‘미국’ 영화였는데 골든글로브가 오스카상의 국제영화상과 유사한 범주인 외국어영화상 후보로 올렸고, 그 결과 작품상 수상이 불가능해졌다. 한국어가 절반 이상인 영화이지만, 한 영화의 국적을 규정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할 때 미국 영화라고 분류하는 것이 합당한 상황에서 내려진 이러한 결정에 대해 미국 내 언론들이 앞장서 비판, 자성, 반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외국어가 더 많이 쓰였던 영화가 작품상에 오른 적이 있으므로 ‘미나리’를 배제한 골든글로브의 결정은 단순히 한국어가 영어보다 많이 사용됐다는 근거를 따른 것이라고 주장하기에는 무리인 상황이다. 이 결정은 미국 영화와 미국 이야기란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하게 한다. 뉴욕의 이탈리아인과 아일랜드인 이민사를 다룬 수많은 갱스터 영화들은 미국 영화이고, 한국 가족의 이민 스토리는 한국어가 더 많이 들린다고 외국 영화일까? 아시아계 영화인들과 일부 언론은 이것이 영어 사용만의 문제가 아닌 인종차별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민 국가인 미국의 자국 영화 정체성 문제를 넘어서서 갈수록 다국적 제작이 늘어나는 추세인 영상 프로그램의 국적을 가리는 문제는 쉬운 일이 아니다. 텔레비전에서 자국과 유럽 프로그램의 편성을 규제하는 유럽의 경우 영화를 포함한 프로그램의 국적은 제작사, 감독, 시나리오, 배우, 언어, 촬영 장소 등의 국적을 고려한 총점제를 실시할 정도로 복잡한 문제다. 게다가 제작사의 주소지와 자본의 국적이 다르고 배우와 감독이 다국적자인 경우도 흔하다. 한국도 이 상황에서 멀지 않다. 앞으로 베트남계 한국인이나 나이지리아계 한국인이 가족의 이민사 영화로 대종상 후보에 오르는 날을 상상할 수 있다. 국제화가 더욱 진행된 케이팝의 경우 한국이나 외국 제작사가 만드는 외국인이 외국어로 부르는 케이팝이 등장하는 등 케이팝의 K의 의미를 고찰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다.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는 제작·배급사의 등장은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국적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넷플릭스 제작 영화 ‘옥자’는 봉준호 감독이 한국어와 영어로, 양국의 배우를 기용해 한국과 미국에서 찍은 영화이고 넷플릭스에서 개봉한 영화다. 개봉 당시 넷플릭스 개봉작이 칸영화제에서 경쟁할 수 있느냐는 문제로 영화의 국적 논란이 다소 묻혀 버렸는데, 불과 4년 후인 지금 수많은 영화가 넷플릭스에서 개봉하지만 아무도 문제 삼지 않고 영화의 국적 문제는 여전히 뜨겁다. 삼겹살 최고 소비의 나라에서 사랑스러운 돼지 이야기라니 ‘옥자’가 한국적 스토리인지는 여전히 열린 질문이다. 넷플릭스에서 2월 초에 개봉한 한국 최초의 스페이스 액션 영화 ‘승리호’는 한국에서보다 외국에서 더 사랑받는다는 소식이다. ‘승리호’의 성공은 ‘부산행’을 환기시킨다. ‘부산행’과 ‘승리호’의 가족 이야기는 한국 관객은 신파로, 외국 관객은 해당 장르에서 기대치 않았던 ‘휴머니즘’으로 받아들였다. 넷플릭스가 동아시아의 콘텐츠 강국인 한국에 제작 투자를 늘리면서 한국은 글로벌 관객에게 익숙하나 우리에게는 새로운 장르에 도전하는 동시에 우리의 전통적 강세인 로맨스물도 글로벌 시청자를 위해 생산하게 됐다. 지역(로컬)과 세계(글로벌) 시장의 상반된 유인 효과 속에서 어떻게 한국이 한국적 스토리를 만들어 갈 수 있을지 흥미롭다.

낙장불입이라, ‘미나리’ 논란의 공은 이제 4월에 열리는 오스카상으로 넘어갔다. 오스카는 ‘미나리’를 국제 영화로 둘 것인가, 자국 영화로 경쟁시킬 것인가. 어느 쪽이든 ‘기생충’에 이어 감독과 주·조연 배우들이 각 분야 후보에 오르고 일부 한국어 수상 소감을 듣는 걸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이에 앞서 3월엔 방탄소년단의 그래미상 수상 여부가 이슈다. 수상 여부보다 이런 계기를 통해 어지러울 정도로 빨리 변화하는 국가, 세계, 문화의 문제를 살피는 일이 중요하다.
2021-02-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