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베트남의 새해맞이 그림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베트남의 새해맞이 그림

입력 2021-01-11 19:28
수정 2021-01-12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새해에 그림을 그려서 내거는 풍습이 있었다. 지금은 대개 사라져 찾아보기 어렵지만 근래 현대 작가들에 의해 부활되는 곳도 있다. 신년의 복을 빌기 위해 민간에서 애용한 방식이니 민화의 일종이다. 민화답게 화려하다 못해 현란한 색으로 신이나 동물을 그리곤 했는데, 사악한 것은 물러나고[闢邪] 복은 어서 오라는[祥瑞] 염원을 담았다. 중국에서는 해마다 정초에 연화(年畵)라 부르는 그림을 그려 길한 기운을 불러오는 풍습이 있었다.

베트남에서도 연화를 그렸다. 처음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유교나 도교의 신, 복돼지를 그리거나 잉어를 그렸고, 100명의 어린아이 ‘백동자’도 그렸다. 복돼지와 백동자는 자손의 번창과 재물이 불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의 표현이었다. 잉어는 과거제도가 있었던 베트남에서 과거 급제를 기원하면서 잉어가 용이 된다는 ‘등용문’(登龍門) 고사에서 비롯됐다. 어떤 연화든 그 주제는 중국적인 것이지만 이를 표현하는 방식은 베트남 특유의 미의식과 취향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베트남에서는 연화 대신 그림을 그린 지역의 명칭을 따라서 불렀다. 하노이 구도(舊都)의 지명을 딴 항쫑화, 홍강 유역의 동호화, 하노이 변두리 낌호앙화 등이 여기 속한다.
이미지 확대
오호도(五虎圖), 20세기 초, 베트남 55x75㎝, 사진※ Saigoneer
오호도(五虎圖), 20세기 초, 베트남
55x75㎝, 사진※ Saigoneer
항쫑화나 동호화는 대표적인 베트남의 연화로 정초에 그림을 사거나 주문해 벽에 붙이고 해가 바뀌면 다른 그림으로 바꿨다. 전형적인 설날 그림이니만치 행복과 자손 번창 등의 새해 소망을 그대로 담는 것이 당연하다. 이를 상징하는 동물이나 유·불·도교의 신, 유명한 왕, 수성·복성·녹성의 삼성(三星)을 그려 이들에게 일 년 내내 기원을 했다. 항쫑화는 개중 화려하고 역사도 깊다. 도시에서 생산한 항쫑화가 노란색, 초록색, 주황색 등을 써서 다른 그림들보다 밝고 선명하게 채색된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이라 하겠다.

우연의 일치인지 몰라도 중국에서 연화는 명나라 때 목판인쇄술의 발전과 함께 융성했는데, 베트남에서도 항쫑화가 약 400년 전 목판화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판화로 윤곽선을 만들고 그 안은 일일이 손으로 색칠하는 식으로 제작됐다. 항쫑화 가운데 가장 인기 있었던 것은 호랑이 그림이다. 우리나라의 까치 호랑이와 비슷한데 베트남 특유의 호랑이 숭배로 인해 널리 애호된 주제다. 베트남의 ‘오호도’(五虎圖)는 중앙의 황색 호랑이를 중심으로 주위에 적색, 녹색, 흰색, 검은색 호랑이 네 마리를 배치했다. 청색 대신 녹색을 썼지만 기본적인 색깔 구성은 음양오행론을 반영한다. 명도 높은 색으로 그린 다섯 마리 호랑이의 경쾌한 모습과 색동에 가까운 바탕은 새해의 쨍한 기운을 살려 준다. 민화답게 그림은 평면적이고 장식적이지만 상서로운 오색구름까지 사악한 기운을 얼씬도 못 하게 만들 것 같다.

우리나라에는 이 ‘오호도’처럼 다섯 마리의 호랑이를 한 화면에 집어넣은 그림은 없다. 하지만 이글이글 불타는 호랑이의 두 눈과 꼬리까지 이어진 줄무늬를 강조한 모습, 해학적인 표정은 상당히 닮았다. 호랑이를 통해 벽사와 길상을 기원하는 한국과 베트남의 같으면서 다른 모습이 잘 드러난다. 신축년 소의 ‘상서’와 호랑이의 ‘벽사’로 코로나를 물리쳐 보자.

2021-01-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