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순건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그렇다면 여러 과학 분야에서 훌륭한 연구자를 어떻게 구분해 내고 있는 것일까. 흔히 유명 학술지에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많은 연구자들에게 인용되면 훌륭한 것이라고들 한다. 유명 학술지는 저널에 실린 논문의 평균인용도를 숫자로 나타낸 영향력지수가 높은 것들일 수 있다.
유명 학술지 표지에 논문이 소개되면 그 연구가 더 뛰어난 것처럼 홍보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학술지 표지에 소개되는 논문을 선정하는 중요한 부서는 디자인팀이다. 눈에 띄는 표지를 장식할 수 있는 논문을 선정하는 것일 뿐 학문적 중요성을 깊이 고민한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학술지 편집장 역시 의도적으로 논문 채택률을 낮추려 하고, 출판될 논문은 곧바로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인용할 것들 위주로 선정한다. 그렇게 해야만 해당 학술지의 영향력지수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런 과정에 매우 독창적이고 이제까지 별로 알려지지 않았던 주제 또는 연구자들이 많지 않은 분야는 당연히 소외될 수밖에 없다. 진정으로 자연에 대한 궁금증에 기반을 둔 독창적 연구, 다른 연구자들이 곧바로 내용을 알기 어려운 새로운 발견들은 상대적으로 홀대받을 수밖에 없다.
우선 이들은 영향력지수가 높은 유명 학술지를 고집하지 말라고 조언하고 있다. 일반인들과 일부 대학에서는 네이처, 셀, 사이언스 같은 학술지를 최고의 학술지로 여긴다. 사실 영향력지수는 도서관에서 우선순위로 구독해야 하는 학술지를 분류하기 위해 1950년대에 만들어진 시스템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어느 순간부터 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지표로 인식돼 버렸다는 설명이다. 또 노벨상 수상자들은 “연구하는 도중 침체기를 경험하는 것과 실패하는 것은 연구 과정에서 나오는 자연스런 일”이라고 말하고 있다. 다수의 학자들이 논문을 많이 쓰기 위해서는 모험을 하지 않고 많은 학자들이 몰려 있는 인기 있는 분야에서 연구를 하고 있다. 진정한 의미에서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자연에 대한 궁금증으로 접근하는 진짜 과학자들에게는 당연히 침체기를 겪고 실패를 반복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실패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기회가 주어진다. 지난주 별세한 1988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잭 스타인버거 교수는 2008년 노벨상 수상자 모임에서 “과학자들은 상보다는 자연에 대해 배워 가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일부 과학자들이 다른 과학자들보다 더 훌륭하다고 과시하는 것은 그다지 좋지 않다”고 말했다.
과연 우리나라 과학지원 정책에는 이런 학자들의 목소리가 얼마나 반영돼 있는지 자성해 볼 필요가 있다.
2020-12-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