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학벌사회의 민낯/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

[열린세상] 학벌사회의 민낯/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

입력 2020-12-17 17:36
수정 2020-12-18 02: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
김종영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
잘생겼다. 하버드를 나왔다. 모든 것을 가질 수 있었지만 모든 것을 버리고 출가했다. 현각 스님과 혜민 스님의 이야기다. 왜 우리는 이들에게 열광했나? 아이러니하게도 이 스님들이 한국의 학벌자본주의 체제에서 육체, 학벌, 정신의 섹시함을 동시에 구현했기 때문이다. 한국 언론과 국민들은 이들의 등장에 즉각적으로 반응해 집단적으로 흥분했고 이들은 스타로 등극했다. 이야기는 여기서 끝냈어야 아름다웠다. 문제는 현각 스님이 ‘풀소유’의 혜민 스님을 하루는 ‘기생충’이라고 비판했다가 다음 날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사람’이라고 칭송하면서 벌어졌다. 우리 중생들은 항상 ‘왔다 갔다’ 해서 괴로운데 존경받는 스님조차 이렇게 ‘심하게 왔다 갔다’ 하면 우리는 누굴 믿고 살아야 하나.

잘생겼다. 서울대 법대와 버클리를 나왔다. 게다가 정의롭기까지 하다. 조국 사태 이전의 조국의 이야기다. 섹시함의 삼위일체가 구현됐고 영향력 있는 진보 인터넷 매체는 대권주자로 그를 염두에 두고 ‘진보집권플랜’이란 책을 출판했다. 진보진영은 즉각적으로 흥분했고 그는 스타로 등극했다. 이 이야기는 그가 청와대 민정수석으로서 끝냈어야 아름다웠다. 조국 사태에서 국민이 공분한 이유는 사모펀드도 웅동학원 비리도 아닌, ‘자식 학벌 만들어 주기 프로젝트’의 불공정함 때문이었다. 진보 아이콘의 민낯이 드러났고 진보진영은 분열됐다.

잘생겼다. 하버드를 나왔다. 언론사 대표 출신으로 거의 완벽한 이미지를 가졌다. 딸의 마약 밀반입 사건 전의 홍정욱의 이야기다. 이쯤 되면 독자들도 파악했을 터이다. 이것은 특정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구조의 문제다. 이들의 학벌, 얼굴, 이야기에 한국 국민은 즉각적으로 흥분했고 학벌 리비도는 이들을 향해 집단적으로 솟구쳤다. 학벌의 포르노화.

왜 우리는 프로이트가 말한 ‘반복강박’, 곧 학벌 포르노에 당하고 또 당할까? 아도르노, 프롬, 마르쿠제 등이 세운 ‘비판이론’의 사상적 기반은 마르크스와 프로이트의 결합이었다. 자본주의 구조와 욕망 구조가 교묘하게 결합해 집단의 인성구조를 형성한다는 것이 비판이론의 핵심 중 하나다. 학벌 포르노의 사회적 구조는 40조원에 달하는 사교육시장이라는 학벌자본주의, 청와대와 권력 핵심기관의 파워엘리트 64.2%가 SKY 출신이라는 통계가 명확하게 보여 주는 학벌권력의 비대화, 학부모ㆍ선생ㆍ학원강사의 아이들에 대한 학벌에 관한 집단적 사디즘, 그리고 지위권력을 독점한 대학학벌체제에 기반하고 있다. 곧 아이들은 학벌 포르노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인성ㆍ욕망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 속에서 길러진다.

여기에 욕망과 이미지의 생산자로서의 방송, 신문, 출판, 인터넷 매체는 집단적 학벌 리비도를 이용해 학벌 포르노의 각본을 만들어 돈을 번다. ‘학벌 문화산업’으로서 학벌 포르노의 다양한 변주가 사용돼 왔고 몇 가지 막간극도 있었다. 예일대를 나왔다고 주장했던 신정아의 ‘거짓의 희극’이 나라를 흔들었고, 스탠퍼드를 졸업한 타블로의 ‘진실의 비극’이 인터넷을 흔들었다.

대학통합네트워크를 통해 전국에 서울대 10개를 만들어 학벌체제를 타파하자는 나의 주장에 가장 반대하는 사람들은 누구일까? 40조원 사교육시장의 학벌자본주의자들이다. 학문을 모르는 이 ‘공부의 신’들은 학생들의 학벌 리비도를 끊임없이 펌프질하며 돈을 번다. 서울대 10개를 만들어 전국의 30% 내외의 학생이 서울대에 들어가면 서울대 학벌의 가치는 땅에 떨어지고 학문의 가치는 올라간다. 서울대 들어가기가 너무 쉽거나 서울대를 들어갈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학원에 다닐 필요가 없다. 이제 ‘학문의 신’이 ‘공부의 신’을 심판할 때가 왔다.

학벌자본주의, 학벌권력, 학벌 사디즘이 뒤섞인 탓에 아이들과 시민들의 영혼에 피멍이 든다. 하버드 출신 스님의 ‘풀소유’와 변덕에 사회가 흔들린다. 학벌 포르노화를 최초로 경계했던 이는 원효다. 의상과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나선 그는 ‘해골 물바가지 회심’으로 신라 최고의 문화 엘리트가 되는 길을 포기하고 거리의 중이 됐다. 마음의 평화와 위안을 주는 스님을 하버드를 졸업한 현각과 혜민이 아니라, 원효의 길을 따른 스님들에게서 찾아야 한다.
2020-12-1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