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불멍 vs 물멍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불멍 vs 물멍

입력 2020-10-27 20:42
업데이트 2020-10-28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멍때리기 대회가 있다. 아무 생각 없이 멍하게 앉아 있으면 되는 아주 쉬운 경기 같지만, 실상은 탈락자가 속출하는 매우 어려운(?) 대회라고 한다. 바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모든 것을 잊고 그저 멍하게 보낼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는 게 생각보다는 쉽지 않다는 것을 방증하는 대회라고 생각한다.

멍때리기 하면 우선 떠오르는 건 모닥불을 하염없이 바라보며 즐기는 불멍이다. 모닥불을 무심히 그리고 오랫동안 바라본 기억을 가진 사람들은 불멍의 매력을 쉽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시대 그나마 우리를 숨 쉬게 해 주는 돌파구로 사랑받는 캠핑의 꽃은 역시 모닥불이다. 요사이 대세로 떠오른 차박족에게도 캠프파이어가 빠질 수는 없다. 활활 타오르는 모닥불과 함께하는 불멍의 시간을 갖기 위해 차박을 떠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구석기시대 인류에게 모닥불은 커다란 선물이었다. 모닥불에 음식을 구우면 맛이 좋아질 뿐 아니라 날 음식의 독성도 제거할 수 있었다. 먹을 수 있는 음식의 종류가 엄청나게 늘어났다. 생활의 질이 달라졌다. 모닥불에 구운 부드러운 고기는 커다란 이빨과 튼튼한 턱이 필요 없게 해 줬다. 이빨과 턱이 작아지면서 생기는 공간은 점점 커지는 뇌가 차지할 수 있었다.

‘왜 무리 지어 사는가’라는 부제를 가진 ‘인간 무리’의 저자 마크 모펫은 부시먼족과 함께 밤을 보낸 추억을 “밤은 이야기의 시간이 된다”는 말로 멋지게 정리했다. 깜빡이는 모닥불을 중심으로 빙 둘러앉은 부시먼들이 불멍을 때리면서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을 떠올려 보자. 참으로 정겹다. 이런 불멍의 시간, 이야기의 시간이 차곡차곡 쌓여 오늘의 우리가 됐다. 모닥불 덕에 인류는 사회적 동물이 될 수 있었다.

멍때리기계의 또 다른 강자는 물멍이다. 강태공이 세월을 낚으며 보냈던 시간도 물멍의 시간이었을 것이다. 물멍의 대표주자 낚시와 함께 최근에는 어항 속 물고기가 헤엄치는 모습을 바라보며 평정심을 다지는 수족관 물멍도 인기라고 한다. 반려견, 반려묘의 대열에 반려어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주룩주룩 빗소리를 듣거나 졸졸 흐르는 시냇물 소리를 들을 때도 우리는 왠지 모를 평온함을 느낀다. 분명 물이 주는 위로가 있다. 닐 슈빈이 ‘내 안의 물고기’라는 책에서 강조했던 것처럼 우리에게는 아주아주 오래전 물속에서 진화했던 생명체의 기억이 남아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코로나19로 지친 심신을 달래기 위해 불멍, 물멍을 즐기러 산으로, 강으로 차박을 떠나는 사람이 많다. 불멍, 물멍을 하며 여유로운 재충전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자연이 우리 곁에 있다는 것, 정말로 감사한 일이다. 그러니 불멍, 물멍으로 복잡한 머리를 깨끗하게 정리하고 떠나는 자리에 쓰레기는 남기고 가지 말길 바란다. 제발 멍때린다고 정신줄까지 놓지는 말자.
2020-10-28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