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양희 아마도예술공간 큐레이터
이 과정에서 관련 서적과 미술사 서적, 답사기 읽기는 도움이 된다. 특히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가 쓴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는 문화유산을 보는 눈과 마음을 열어 주었다. 그 외에도 여러 책의 도움을 얻고 온라인에서도 정보를 얻는다. 하지만 현장에서 만난 극진하고 훌륭한 작품은 모든 정보를 잊게 만들고 밀려오는 감동에 눈시울을 붉히게 된다. 그것은 기쁨이나 슬픔 같은 감정과는 다르다. 절대적인 것을 향해 나아가고자 했던 어떤 정신을 마주함에서 오는 경탄이다. 예술이 물질을 통해 그 시대의 관념과 사상의 정수를 표현한다는 당연한 사실도 답사를 통해 배웠다.
문화유산을 통해 받은 감동은 현대미술에 대한 협소한 이해력에도 눈을 뜨게 해 주었다. 그간 개념이나 이론을 대입해 작품을 보려 했기에 예술가의 진실한 마음을 놓쳤다. 또 새로운 문제의식에만 방점을 두어 작가의 손이 향한 곳을 제대로 보지 못했다. 예술가의 ‘정성’은 외면한 채 이를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보조적 수단으로만 보았다. 현대미술은 가장 발전된 개념을 표현한다고 착각했기에 그것이면 족하다는 무지의 소산도 있었다.
그런데 현대미술을 접할 때와 사찰 건물, 불상, 석탑 등을 마주할 때 확연한 차이가 있다. 과거 유산들에도 뛰어남의 편차가 있고 모두 예술적 성취를 이룬 것도 아니다. 그러나 대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표현한 훌륭한 작품은 그 시대가 추구한 진리(眞理)를 온전히 느끼게 한다. 정형(定形)뿐 아니라 이형(異形)을 통해 형식과 내용을 통일한 작품을 심심찮게 만나기도 한다. 물론 이런 유산은 지배자층의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치부된다. 하지만 가장 솜씨 좋은 장인이 만든 시대의 응축물로 여긴다면 우리는 더 풍요로운 정신을 얻을 수 있다. 왜냐하면 거기에는 우리 시대가 놓친 중요한 가치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만약 현대미술이 이러한 정신을 수용한다면 우리 시대의 진리는 무엇인지, 그것을 절대적으로 어떻게 표현할지를 고민해 볼 수 있다. 지금은 과거처럼 소박하지 않고 종교에 의지할 만큼 단순하지도 않다. 더군다나 자본주의라고 하는 복잡한 체제가 인간들이 맺는 관계를 투명하게 볼 수 없게 한다.
상품과 화폐라는 사물을 통해 관계를 맺기에 온전한 주체로서의 인간을 상상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 세계의 본질을 꿰뚫은 예술가가 있더라도 왜곡되고 전도된 세계를 절대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한다는 것은 난센스다.
그러나 진리가 없다는 상대주의적 관점으로 현재의 필요성에 따라 특수성을 옹호하는 것도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부분적인 성과로는 인간의 총체성을 사유하기 어렵다. 여기서 인간은 현재 존재하는 인간만이 아니라 과거와 미래의 전 인류를 포함하는 의미다. 그렇다면 예술 또한 한 시절에만 살아남는 유행일 수 없다. 적어도 현대미술이 개념을 포착하는 일에 주안점을 둔다면 보편을 끌어안은 개별은 진리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석탑을 만들었던 선조들은 지금처럼 발전된 시대에 살지 않았다. 그러나 1000년이 넘도록 당당하게 선 석탑은 절대적 진리의 증거물이다. 시절이 좋아지면 벗들과 함께 그 곁으로 가 우리 시대의 참된 이치에 관해 나누어 볼 요량이다.
2020-09-10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