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훈 변호사
코로나19로 학교수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올해 초등학교에 입학한 조카는 “학교를 10번만 가도 좋았을 텐데 6번밖에 못 가고 방학을 했다”는 얘기를 해서 나를 울렸다. 그동안 폄하되어 온 공교육의 가치를 재발견하기도 하고 학력 양극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기도 한다. 그 끝에 무엇이 있을지 알기 어려운 상황인 가운데 질문하게 된다. 학교에서 우리가 얻는 것은 무엇인가. 배움이란 무엇인가.
타라 웨스트오버의 책 ‘배움의 발견’을 다시 폈다. 저자는 광신도 부모 밑에서 출생신고조차 없이 살다가 16살 때 정규교육을 시작하여 27세에 케임브리지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책은 학교도 가지 못했던 어린 시절과 명문대 박사라는 성과 사이의 간극을 배움의 발견이라 하지 않는다.
종교와 가족이 구축했던 닫힌 세계를 넘어 진실을 보고 경험하고 이를 사용해 자기 정신을 구축할 수 있는 특권이 ‘배움’이라 말한다. 여태까지의 모든 노력과 여러 해 동안의 공부는 바로 이 특권을 얻기 위한 것이라는 저자의 고백은 마음을 울린다. 저자는 쉽지 않은 싸움 끝에 내면에 남아 있던 16살 소녀, 집을 떠나 밖으로 나오기 전의 세계관에 묶여 있던 자아를 온전히 떠나보낸다. 이 책은 그렇게 변화된 새로운 자아를 ‘교육’이라 부른다. 옛 세계관을 고집하는 가족에게는 배신이고 제3자가 보기에는 변신이겠지만, 저자에게는 그것이 바로 교육이었다.
2011년 미국 연수를 할 때 핼러윈 파티에서 절대 해서는 안 될 사항으로 흑인 분장 즉 ‘블랙페이스’를 알게 되었다. 그것은 금기 혹은 지식으로 그치지 않았다. 어린 시절 TV에서 ‘시커먼스’를 보고 낄낄거리던 아이가, 흑인 차별과 억압의 역사 앞에 눈물 흘릴 줄 아는 사람, 찢어진 눈 표시나 칭챙총 소리를 하는 양인들을 향해 기죽지 않고 꾸짖을 수 있는 어른이 되었다. 배움은 단순한 앎이 아니라 스스로의 변화이며 주위에 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힘이다. 이런 배움은 변호사 자격 혹은 로스쿨 학위와는 별개의 일이었다.
입시의 규칙과 공정성을 논하느라 배움은 이 사회의 의제에서 밀려난 지 오래다. 하지만 전교 1등을 놓치지 않고 우수한 수능 성적을 획득한 18살 소녀 혹은 소년을 떠나보내지 않으면 배움을 발견할 수 없다. 대면수업이든 원격수업이든 학생들이 18살에 받아 든 성적표에 인생을 걸지 않도록 하는 것이 교육이고, 그때 누가 전교 1등을 했는지는 아무도 관심 없다는 것에 눈을 뜨는 것이 배움이다.
“가방끈(education)과 지성(intelligence)을 혼동하지 말라”는 영문 격언이 있다. 한국 버전으로는 “자기 전공에서는 박사, 나머지 일에는 동네 아저씨” 정도일 것이다. 과거에 쌓은 것을 쥐고 있느라 배운 사람 되기를 멈추지 말라는 얘기다.
2020-09-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