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코로나19 유행을 대체로 세 가지로 예측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감염자가 줄었다 늘었다 하는 주기적 유행 모델이다. 두 번째는 1918년 스페인 독감처럼 봄철에 큰 유행을 겪고 가을이나 겨울에 더 큰 2차 유행을 하는 시나리오다. 특히 독감과 코로나19가 동시에 유행할 가능성이 있다. 세 번째로 2003년 사스처럼 한번 큰 유행이 있고 나서 몇 년에 걸쳐 작은 유행을 일으키다가 서서히 소멸할 수도 있지만 가능성은 낮다.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유행을 최소화할 것인가. 지금까지 해 왔던 대로 조기진단과 조기치료가 정답이다. 그런데 이런 상황이 6개월째 지속되니 질병관리본부부터 보건소까지 피곤이 쌓이고 있다. 지금처럼 방역 당국과 의료진의 헌신만 바라보는 방식은 지속가능하지 않다.
지속가능한 방역 모델을 위해서는 호흡기 발열 환자에 대한 의료체계를 신속하게 재정비해야 한다. 그런데도 호흡기전담클리닉 설치가 기약 없이 늦어지고 있어 걱정이다. 정부는 리모델링 비용만 지급하면서 의료기관에 인상된 의료수가로 전담클리닉을 운영하라는 한심하기 짝이 없는 탁상공론으로 의료계를 설득하려고 하니 제대로 될 턱이 없다. 이러다가는 자칫 종합병원의 국민안심클리닉과 보건소의 선별진료소에서 코로나19 환자와 인플루엔자 환자를 모두 담당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인플루엔자 유행시기에는 호흡기 증상 환자들이 2~3개월 동안 200만~300만명 이상 병원을 찾게 된다. 이 체계로 호흡기 발열 환자들을 진료하라고 하면 1, 2차 의료기관은 수익성 감소로 문을 닫는 곳이 생겨 의료전달체계의 근간이 흔들릴 수도 있다. 정부나 대한의사협회는 이 상황을 타개할 의지가 있는지 답답할 뿐이다.
2차 유행이 발생했을 때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중환자 의료체계를 확대하고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방역 당국은 중증환자 긴급치료병상(긴급음압격리병상) 확충사업을 5월에 발주해 병원들로부터 신청까지 받았지만 아직까지 선정 여부를 통보하지 않았다. 음압격리병상을 확충해도 의료진 확보와 훈련에 최소 2~3개월은 걸리는데 왜 아직까지 병원조차 선정하지 못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방역 당국과 의료진, 국민들이 힘을 모아 지금까진 잘 버텨 왔다. 그나마 환자가 적게 발생하는 지금 철저히 준비하지 않으면 앞으로 1~2년 이상 지속될 코로나19를 이겨 낼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없다. K방역이라는 칭찬에 안주하다 보면 언제라도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걸 잊지 말자.
2020-07-28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