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가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1980년 당시 총학생회 활동을 정리한 ‘1980년 전남대 총학생회와 박관현’을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책은 1970년대 이후 전남대 학생운동권의 형성을 시작으로 ▲1980년 전남대 총학생회의 활동과 5·18민중항쟁의 발발 ▲비상계엄의 확대로 인한 고통(도피, 구금, 고문, 사회적 낙인 등) ▲박관현 총학생회장의 리더십 ▲1980년 이후 총학 구성원들의 삶(박관현 기념사업, 관련 장학재단 등) 등이 담겨 있다.
이 책은 전남대 5·18 연구소 최정기 소장과 김형주·유경남 전임연구원, 양라윤 학예연구사(5·18민주화운동기록관)가 공동 집필했다.
저자들은 기존의 연구 성과와 자료를 집대성하고, 1980년 총학생회 구성원 17명과 총학 이외 7명 등 모두 24명을 심층 면접했다.
최영준 관현장학재단 이사장은 “1980년 박관현 총학생회장을 중심으로 한 전남대 총학생회는 학내·외 민주화를 위해 모든 것을 쏟아부으면서 광주시민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참여를 끌어냈지만, 정작 5·17 비상계엄확대로 상당수가 예비검속으로 체포되거나 피신해야만 했다”며 “항쟁의 전면에 나서지 못했던 부끄러움과 성찰 때문에 드러내놓고 말하지 못했던 활동과 경험을 지금이라도 담담하게 기록으로 남기고자 5·18연구소와 힘을 모았다”고 말했다.
박관현 열사는 5·18 당시 도청 앞 집회를 주도한 혐의로 수감됐으며, 옥중에서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단식투쟁을 벌이다 1982년 10월 단식과 고문 후유증 등으로 숨졌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이 책은 1970년대 이후 전남대 학생운동권의 형성을 시작으로 ▲1980년 전남대 총학생회의 활동과 5·18민중항쟁의 발발 ▲비상계엄의 확대로 인한 고통(도피, 구금, 고문, 사회적 낙인 등) ▲박관현 총학생회장의 리더십 ▲1980년 이후 총학 구성원들의 삶(박관현 기념사업, 관련 장학재단 등) 등이 담겨 있다.
이 책은 전남대 5·18 연구소 최정기 소장과 김형주·유경남 전임연구원, 양라윤 학예연구사(5·18민주화운동기록관)가 공동 집필했다.
저자들은 기존의 연구 성과와 자료를 집대성하고, 1980년 총학생회 구성원 17명과 총학 이외 7명 등 모두 24명을 심층 면접했다.
최영준 관현장학재단 이사장은 “1980년 박관현 총학생회장을 중심으로 한 전남대 총학생회는 학내·외 민주화를 위해 모든 것을 쏟아부으면서 광주시민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참여를 끌어냈지만, 정작 5·17 비상계엄확대로 상당수가 예비검속으로 체포되거나 피신해야만 했다”며 “항쟁의 전면에 나서지 못했던 부끄러움과 성찰 때문에 드러내놓고 말하지 못했던 활동과 경험을 지금이라도 담담하게 기록으로 남기고자 5·18연구소와 힘을 모았다”고 말했다.
박관현 열사는 5·18 당시 도청 앞 집회를 주도한 혐의로 수감됐으며, 옥중에서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단식투쟁을 벌이다 1982년 10월 단식과 고문 후유증 등으로 숨졌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