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한 요양병원에서 환자 52명, 직원 17명 등 69명이 코로나19에 집단감염된 사실이 어제 밝혀졌다. 대구 방역당국이 요양병원과 사회복지시설 390여곳을 전수조사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아직 3분의1밖에 전수조사가 이뤄지지 않은 만큼 추가 사례가 드러날 가능성도 크다. 또한 서울 서초구 한 클럽은 지난 10일 영업을 중단했다가 4일 만인 지난 주말부터 영업 재개를 강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홍대에서도 클럽 7곳이 여전히 자발적인 휴업에 동참하지 않고 있다. 신천지 사태 이후 수백 명씩 발생하던 하루 확진자가 나흘 전부터 두 자릿수로 줄어들며 진정되는 듯한 추세에 찬물이 끼얹어진 셈이다.
고령의 치매 및 기저질환자들이 많은 요양병원은 특성상 감염 여부에 대한 신속한 확인이 어려울 수는 있다. 하지만 첫 감염자인 간호과장의 확진 판정 뒤 만 하루 동안 대구시 차원에서 요양병원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점은 아쉬움이 짙게 남는다. 클럽 등 젊은층이 주로 찾는 다중이용시설 또한 지역 감염 등 집단감염 우려가 큰 장소이기에 집단감염에 대한 무신경은 안타깝기만 하다. 서울, 대구, 천안 등 전국 곳곳에서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발버둥치는 의료진, 공무원 등 방역 당국의 노력을 비롯해 초·중·고 휴업, 재택근무 등 사회적 거리두기와 개인위생에 애쓰는 다수 시민들의 노력을 자칫 공염불로 만들 수 있는 행동들이기 때문이다.
다중이용시설 사업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면 지방정부의 적극적 행정 개입이 불가피하다. 노래연습장, PC방, 클럽, 콜라텍 등 밀집이용이 빈번한 공간에 대해서는 지방정부에서 강력한 행정력을 발휘해 영업 제한 등으로 집단감염을 경계해야 한다. 방역 당국이 ‘코로나19를 거의 통제했다’고 선언하기 전까지는 민간의 자발적 참여가 절실하다.
고령의 치매 및 기저질환자들이 많은 요양병원은 특성상 감염 여부에 대한 신속한 확인이 어려울 수는 있다. 하지만 첫 감염자인 간호과장의 확진 판정 뒤 만 하루 동안 대구시 차원에서 요양병원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점은 아쉬움이 짙게 남는다. 클럽 등 젊은층이 주로 찾는 다중이용시설 또한 지역 감염 등 집단감염 우려가 큰 장소이기에 집단감염에 대한 무신경은 안타깝기만 하다. 서울, 대구, 천안 등 전국 곳곳에서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발버둥치는 의료진, 공무원 등 방역 당국의 노력을 비롯해 초·중·고 휴업, 재택근무 등 사회적 거리두기와 개인위생에 애쓰는 다수 시민들의 노력을 자칫 공염불로 만들 수 있는 행동들이기 때문이다.
다중이용시설 사업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면 지방정부의 적극적 행정 개입이 불가피하다. 노래연습장, PC방, 클럽, 콜라텍 등 밀집이용이 빈번한 공간에 대해서는 지방정부에서 강력한 행정력을 발휘해 영업 제한 등으로 집단감염을 경계해야 한다. 방역 당국이 ‘코로나19를 거의 통제했다’고 선언하기 전까지는 민간의 자발적 참여가 절실하다.
2020-03-1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