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들 옆에서 봉준호는 한결같이 자신만의 언어로 말했다. 표준어처럼 정해진 틀의 말이 아니라 ‘방언’같이 자신의 몸에 배어 있는 언어, 모어로 말할 줄 아는 사람이었다. 그가 가지고 있는 생각은 자연스레 섬세하게 전달됐다. 꼬이거나 구겨지지 않았다. 유머와 위트 넘치는 진실과 감동 있는 사실들이 전해졌다.
스코세이지의 눈을 마주한 봉준호는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인 것이다”라는 그의 말이 떠올랐다. 자신에겐 평범해지고 일상이 됐을 이 말은 순간 시상식장으로 퍼져 나갔다. 환호와 기립박수 소리가 세상을 가득 채운 듯했다. 스코세이지의 눈시울은 붉어졌고, 이 장면을 보던 이들의 마음도 그렇게 물들었다. 수상 소감도, 이런 장면도 그가 의도한 시나리오는 아니었다.
그는 어떻게 설득하는지 알았다. 그러나 설득하려 하지 않았다. 오스카에 앞서 열린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선 이렇게 말을 건넸다. “1인치 정도 되는 장벽을 뛰어넘으면 훨씬 더 많은 영화를 만날 수 있다. 우리는 단 하나의 언어를 쓴다고 생각한다. 그 언어는 영화다.” 자신의 방식대로 자신의 언어로 그저 다가갔을 뿐이다. 그것이 공감되고 나누어지기를 희망했다. 쿠엔틴에겐 “형님”이라고 호칭하며, 그가 그동안 보내준 지지에 사랑과 감사를 표했다. “오스카에서 허락한다면 이 트로피를 텍사스 전기톱으로 잘라서 5등분해 나누고 싶은 마음”에선 다시 환호와 박수가 이어졌다. 배려와 존중이 묻어 있음을 모두가 느꼈다. 그는 소통하고 나눌 줄 아는 사람이었다.
‘기생충’은 슬픈 영화다. 봉준호는 이 영화에 대해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 사이에 가파른 계단이 있는데, 계단을 올라가려 했던 가난한 남자가 오히려 계단을 내려가면서 끝나는 이야기다. 우리 시대가 담고 있는 슬픈 모습”이라고 했다.
이것은 영화의 주제이기 전에 정치의 주제였다. 정치는 이 주제를 지금까지 어떤 언어들로 풀어 왔을까. 4·15 총선에서 정치의 언어들은 다시 번지르르하기만 할 것인가. 감동을 주기를. 봉준호처럼.
wlee@seoul.co.kr
2020-02-17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