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살 넘은 MLB 예능 도입, KBO는 뭐하나

100살 넘은 MLB 예능 도입, KBO는 뭐하나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0-02-11 16:25
업데이트 2020-02-11 18: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포스트시즌에 2개팀 추가 + 리얼리티 쇼 도입

미국 메이저리그 창단 50년 만에 첫 우승의 쾌거를 이룬 워싱턴 내셔널스 선수들이 31일(한국시간) 미 휴스턴 미닛메이드파크에서 열린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마지막 7차전에서 승리한 뒤 그라운드에 뛰쳐나와 우승의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휴스턴 AP 연합뉴스
미국 메이저리그 창단 50년 만에 첫 우승의 쾌거를 이룬 워싱턴 내셔널스 선수들이 31일(한국시간) 미 휴스턴 미닛메이드파크에서 열린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마지막 7차전에서 승리한 뒤 그라운드에 뛰쳐나와 우승의 기쁨을 만끽하고 있다.
휴스턴 AP 연합뉴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사무국이 흥행을 위해 포스트시즌 게임에 2개팀을 추가하고 포스트시즌 대진표 결정을 리얼리티 TV쇼 스타일로 하는 파격적 방안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최근 선수들의 기량 저하로 관중 수가 감소하고 있는 한국 프로야구는 외국인 선수 보유 한도 확대와 같은 본질적 개혁을 외면해 빈축을 사고 있다.

11일 뉴욕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MLB 사무국은 2022년부터 포스트시즌 확대를 신중하게 고려하고 있다. 현재는 양대 리그(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에서 우승한 2팀이 월드시리즈에서 최종 우승을 가리며, 그전에 각 리그에서 지구 우승자 3팀과 그 다음으로 승률이 높은 와일드 카드 2팀이 리그 우승자를 가린다. MLB 사무국은 여기에 2팀을 더 올려 총 7개팀이 맞붙게 하자는 구상이다. 리그 최고 승률로 지구 우승을 차지한 팀은 디비전시리즈에 직행하고, 나머지 6팀이 3전 2선승제로 맞붙는 식이다. 단 상위 3팀이 상대를 결정한다. 리그 승률 2위로 지구 우승을 차지한 팀이 먼저 상대를 고르고, 리그 승률 3위 지구 우승팀, 와일드카드 1위 순으로 상대를 정한다.

상대를 지명하는 과정은 TV를 통해 미국 전역에 생방송된다. MLB사무국은 지명 과정에서의 치열한 전략과 수싸움을 지켜 보는 재미를 줄 것으로 기대했다. 예컨대, 뉴욕 양키스가 세 팀 중 성적은 가장 좋지 않지만 까다로운 라이벌이라는 점을 고려해 보스턴 레드삭스를 기피할 수도 있다.

이처럼 파격적 방안까지 검토하고 나선 건 젊은층을 야구팬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고민의 산물이다. 프로농구(NBA) 등 다른 스포츠와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안간힘인 셈이다. 뉴욕 포스트는 또 포스트시즌 확대로 참가 팀이 늘면 흥행 제고는 물론 중계권 계약 연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한국 프로야구의 경우 최근 2년 간 100만명 이상의 관객이 줄어 위기에 처한 가운데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지난달 21일 올해 첫 이사회를 열어 FA 기간 1년 단축 및 샐러리 캡(연봉 상한) 도입을 골자로 하는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선수들을 장기계약과 고액연봉에 안주하지 않도록 해 경기력 향상을 도모하는 취지라고는 하지만 본질을 외면한 소극적 개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경기력 향상의 핵심인 외국인 선수 보유 한도 확대 규정을 제대로 손보지 않고 수박 겉핥기 식으로 고친 것으로 놓고 ‘선수들 밥그릇 지키기’를 깨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KBO는 “2020년부터 외국인 선수를 기존 ‘3명 등록, 2명 출전’에서 ‘3명 등록, 3명 출전’으로 변경해 구단의 선수 기용 폭을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2023년부터 구단이 육성형 외국인 선수를 투수, 타자 각 1명을 두기로 했다. 이는 외국인 보유·출전 제한이 없는 MLB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외국인 선수 보유 한도가 없고 4명 출전이 가능한 일본 프로야구(NPB) 수준으로는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외면한 것이다.

또 KBO는 팀당 외국인 선수 계약 합계 총액을 400만달러로 제한하는 샐러리 캡 조항을 만들었는데, 이는 우수한 선수의 수입을 막는 데다 실력에 비해 고액 연봉을 받는 국내 선수와의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최영권 기자 story@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