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터치연구원, OECD 자료 분석…돌봄·미용 등 대인 서비스 늘려야
55세 이상 취업자 중 46.7%가 청소·경비 등 반복적 육체노동을 하는 한국의 고령층 노동 구조가 자동화를 촉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자동화가 진행될수록 고령층 일자리수는 줄게 된다. 돌봄·미용 등 대인 서비스에 종사하는 고령층 일자리가 늘수록 자동화 추세가 둔화될 것이란 대안도 제시됐다.
민간연구소인 파이터치연구원 유한나 선임연구원은 12일 이 같은 내용의 ‘자동화와 고령층 일자리’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2011~2017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5개국 패널 자료를 활용, 어떤 종류의 고령층 일자리 시장이 활성화됐는지에 따른 자동화 지표 경감 추세를 분석했다.
고령층 일자리가 반복적 육체노동 쪽에 쏠린 국가에선 고령화와 함께 자동화가 촉진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령의 반복적 육체노동 비중이 OECD 국가들의 75% 수준이라면 고령화 지표가 1% 늘 때 자동화 지표가 0.06% 증가했다. 육체노동 지원 고령자가 많더라도 고령층 반복 업무를 없애고 자동화 기계로 대체하려는 유인이 작동한다는 뜻이다.
반면 대인 서비스 노동 비중이 OECD 국가들의 75% 수준이라면 고령화 지표가 1% 늘 때 자동화 지표가 0.83% 감소했다. 반려견 도우미, 사회복지사 등으로 일하는 고령층 일자리를 기계로 대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자동화 시대에도 고령층이 비교우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일자리로 보고서는 간병인, 장애인 활동도우미, 이발사, 미용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방과 후 아동 돌보미, 직업재활 상담사, 청소년·은퇴자 생활관리자, 숲해설가, 반려견 도우미, 기계경비 지도사 등을 제시했다.
유 선임연구원은 “연구 결과를 한국에 적용하면 고령층의 대인 서비스 노동 비중이 1% 증가할 때 일자리 자동화가 4% 더뎌지는 것으로 분석 됐지만, 한국 고령층은 대인 서비스에 22.1%만 종사하는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9-03-1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