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지키는 이용수 할머니 인터뷰. 서울의 소리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2/05/SSI_20190205103204_O2.jpg)
서울의 소리 유튜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지키는 이용수 할머니 인터뷰. 서울의 소리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2/05/SSI_20190205103204.jpg)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지키는 이용수 할머니 인터뷰.
서울의 소리 유튜브
서울의 소리 유튜브
‘서울의 소리’ 유튜브 채널은 지난 4일 김복동 할머니 빈소를 찾아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와 인터뷰를 나누는 영상을 소개했다.
인터뷰에 앞서 빈소를 지키는 이용수 할머니의 모습도 전해졌다. 특히 이용수 할머니가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이 보낸 화환의 명패를 뒤로 돌려 보이지 않게 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또 다른 화환도 빈소 구석에 옮겨서 꽃과 보낸 이의 이름이 보이지 않게 뒤로 돌리는 장면도 나왔다. 이를 촬영한 서울의 소리는 뒤로 돌려진 화환을 “나경원 원내대표의 조화”라고 설명했다.
이후 이 화환은 밖으로 치워지는데 “나경원 의원의 화환이 끝내 밖으로 쫓겨났다”고 서울의 소리 측은 설명했다.
이용수 할머니는 서울의 소리와의 인터뷰에서 ‘태극기 부대’를 비판했다. 이용수 할머니는 “반대한다고 하면서 툭 하면 태극기를 들고 나와서 흔든다. 중요한 태극기를 그렇게 쓰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영상이 보이지 않으시면 클릭)
지난달 29일 김복동 할머니의 빈소를 찾은 나경원 원내대표는 ‘위안부 합의에 찬성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외교적으로 의미 있는 일이었다고 한 것이다. 그 당시에도 할머니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얘기했다”고 답했다.
박근혜 정부가 2015년 12월 28일 일본 정부와 ‘한·일 위안부 합의’를 맺을 때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이었던 나경원 원내대표는 당시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명기하지 못해 아쉽지만 외교적 협상에 있어서는 차선의 선택이었다”고 평가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