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한국이나 미국 대학생들이 공부하는 데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렇게 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 학점이 나오는 ‘꿀강의’가 많기 때문이다. 수업에 빠지지 않고 시험 때만 반짝 공부하면 학점이 잘 나오는 강의 말이다. 예습은 물론 복습을 거의 할 필요가 없는 이런 수업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자상한’ 선배로부터 ‘눈치 빠른’ 후배들에게 높은 ‘당도’로 추천된다.
현재 이루어지는 유일한 수업 효과성에 대한 평가인 강의 평가는 상황을 악화시키는 데 일조한다. 강의 종료 후 수강생들로부터 수집되는 강의 평가 결과에 대한 여러 실증적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 결과를 완전히 무시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그것으로 강의의 효과성을 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중론이다. 예를 들어 실력을 향상시키는 강의보다 편하게 해 주는 강의를 학생들이 더 좋게 평가한다. 지적 능력 배양에는 실패와 훈련이라는 고통의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런데 능력 배양을 위해 생각을 하게 하고 과제 부담이 높은 수업을 진행하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강을 철회하거나 아니면 강의 평가 점수를 박하게 준다. 그리고 이런 평가 점수는 바로 교수의 교육 능력을 가늠하는 척도로 반영된다. 따라서 교수가 웬만큼 확신이 없으면 이런 수업을 지속하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꿀강의’가 좋은 강의를 밀어낸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꿀강의’를 없앨 수 있을까. 필자의 제안은 권장 공부 시간을 정하게 하는 동시에 이에 맞게 수업이 진행됐는지를 강의 평가를 통해 확인하게 하자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학 전체, 단과 대학, 혹은 학과 차원에서, 예를 들어 교양 과목의 경우 주당 수업 시간의 한 배, 전공 과목의 경우 주당 수업 시간의 한 배 반을 추가로 공부하도록 결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현재 교수에 따라 천차만별인 수업 부담이 어느 정도 균등해질 수 있다. 권장 시간을 정할 때 당사자인 대학생들의 의견도 충분히 반영돼야 한다. 그들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논의의 편의상 위에서 제안한 것처럼 교양 수업은 수업 시간의 한 배로, 전공 수업은 1.5배로 정해졌다고 하자. 현재 학생들은 주당 3시간 수업을 6과목 정도 듣는다. 편의상 이 중 4과목은 전공, 2과목은 교양을 듣는 학생을 가정해 보자. 이 학생은 주당 수업 18시간 외에 전공 4과목을 위해 각각 4.5시간 총 18시간, 교양 2과목을 위해 3시간씩 총 6시간을 공부해야 한다. 결국 주당 총 42시간을 공부해야 하는데, 하루에 수업을 포함해 8시간 정도 공부하고 저녁과 주말을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된다. 물론 원할 경우 그 시간에 공부해도 된다. 이 정도가 적절한지 아니면 늘리거나 줄여야 할지에 대해서는 실행한 다음 보완해 갈 수도 있다. 교수는 권장 공부 시간에 해결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고, 완수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지금도 매주 이렇게 하는 교수들이 있기는 하지만, 점검에 시간이 많이 들어 그 수는 매우 적다. 다행히도 과제 완수 여부는 테크놀로지를 이용해 해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업에서 권장 시간이 준수됐는지를 묻는 문항을 강의 평가에 포함시켜야 한다. 과제가 너무 많거나 적은 수업의 평가 점수가 낮아지게 하고, 필요할 경우 다른 문항보다 이 문항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교수도 평가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이상의 제안은 단지 ‘꿀강의’를 없애기 위한 것이 아니라 대학 수업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기도 하다. 대학경쟁력이 곧 국가경쟁력이라는 말은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에도 해당된다.
2019-01-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