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정 만료 앞두고 2박 3일간 협상 돌입
총액·기간 간극 커… 연내 타결 힘들수도주한 美대사 “韓, 더 많은 것 해야” 압박
한·미 방위비 협상에 참여하는 미국 관계자를 태운 차량이 11일 협상 장소가 마련된 서울 동대문구 국방연구원으로 들어서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광화문광장에서 한·미 방위비 분담금 인상 반대 집회에 참석한 시민단체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소속 회원이 피켓 시위를 하는 모습.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현행 제9차 협정이 올해 말로 종료되는 만큼 협정 간 공백을 최소화하려면 13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회의에서 최종 합의에 도달해야 한다. 그렇지만 양측은 방위비 총액을 두고 큰 차이를 보여 연내 타결이 가능할지 관심이다.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는 11일 ‘송년 한미우호의 밤’ 행사 축사에서 “미국은 한국이 한미동맹을 위해 상당한 자원을 제공하는 것에 감사드리지만, 제 생각에 한국은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고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현재의 2배 수준으로 잡았으며 미국 협상단도 지난해보다 150% 증가한 연간 12억 달러(약 1조 3555억원)를 요구한다고 보도했다. 반면 한국의 올해 분담금은 약 9602억원으로 정부는 미국의 급격한 인상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양측은 연간 방위비 증가율, 방위비 협정의 유효기간 등도 간극을 모두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미국은 전략자산의 전개 비용을 포함하는 ‘작전지원’ 항목을 신설하자는 주장도 해 왔다. 반면 정부는 방위비 분담금은 주한미군 주둔 비용이라는 점에서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이번 협상이 연내에 체결되지 못해 협정 간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외교부 관계자는 “협상 공백 시 지난해 기준으로 국방부 예산에 반영해 새 협정 발효 시까지 사용하고 추가 비용은 예비비 형식으로 추가해 총액을 맞추게 된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8-12-1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