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현대미술관 ‘빛의 길을 꿈꾸다’展…순종·영친왕 등 황실 가족 사진도 눈길
노란 황룡포를 입은 고종. 붉은 어좌는 금박의 용머리로 장식했다. 고종은 1897년 나라의 이름을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이후 우리에게 익숙한 붉은색의 홍룡포 대신 황제·황후에게만 허용되던 황색의 용포와 의장물이 어진에 등장한다.1907년 그려진 ‘신중도’에는 대한제국 군인의 복장을 한 불법(佛法) 수호신이 등장한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제국의 미술’은 서양 및 일본 미술 등에서 사실적이고도 세밀한 화풍을 수용해 이전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불법을 수호하는 신인 ‘호법신’을 그린 불화에 대한제국 군복이 등장하는 모습에서는 눈이 휘둥그레질 정도다. 1907년에 그려진 ‘신중도’에 등장하는 신은 푸른색 상의에 군모, 어깨 견장의 태극무늬까지 완벽한 대한제국의 군인 모습이다. 대한제국기 새롭게 출현한 신식 군인의 힘으로 조국의 안녕을 지키고자 했던 간절한 바람이 느껴진다.
1880년대 초 최초의 사진관이 설립된 이래 어진이나 기록화를 대체한 사진의 모습도 흥미롭다. 이 시기에 이르러 남성 중심의 초상 이미지는 부부, 여성, 가족으로 확대된다. 황실 사진을 도맡았던 일본 사진사 무라카미 덴신은 순종과 순종비, 영친왕과 고종의 가족 사진을 촬영했다. 이들은 연출된 근대적 황실 가족의 모습을 널리 배포하고자 했다.
이 밖에 기능적 장인에 가까웠던 ‘화원’이 예술가적 성격의 ‘화가’로 변모하는 과정도 전시에서 함께 볼 수 있다. 14일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바르토메우 마리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은 “근대 미술을 전담하는 개관 20주년의 덕수궁관에서 이같은 전시를 열게 돼 기쁘다”며 “근대 미술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궁중 미술과 관련된 총체적인 분야를 다뤘다”고 설명했다.
바로 옆 덕수궁 석조전에서 새달 12일까지 개최되는 ‘대한제국 황제 복식 특별전’과 같이 둘러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미술관에서 옛 사진을 보고 석조전에서 고증에 따라 재현된 의복을 보는 식이다. 월요일 휴무. (02)2022-0600.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8-11-1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