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고 펼 수 있거나 휘어지는 스마트폰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안종현(46) 연세대 교수 등 6명이 국내 학술계 최고 권위의 대한민국학술원상을 받는다.
대한민국학술원은 안 교수를 비롯해 독창적 연구업적을 세워 국내 학술연구 진흥에 이바지한 연구자 6명에게 대한민국학술원상을 수여한다고 16일 밝혔다.
대한민국학술원상은 1955년부터 현재까지 252명의 수상자를 배출한 국내 학술계에서 가장 오래된 상이다.
자연과학응용부문에서 수상한 안 교수는 2010년 세계 최초로 접히고 휘어지는 터치패드인 ‘플렉서블(유연한) 그래핀 터치 패널’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관련 논문을 ‘네이쳐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했다.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은 흑연에서 떼어낸 전기 효율이 높은 물질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에 쓰이며 2~3년 내에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안 교수의 논문은 지난 7년간 인용지수가 5000번에 달하는 세계 최상위 논문 중 하나로 평가된다.
사회과학부문 수상자인 김병연(56) 서울대 교수는 그동안 단편적으로 연구된다는 지적을 받아 온 북한경제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 교수의 대표 저서 ‘북한 경제 베일을 벗기다’는 직접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북한의 현 경제 상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이 저서는 영국 캠브리지대 출판부에서 영문으로 출간하기도 했다.
인문학부문에서는 인공지능 번역기의 기술로 쓰이는 ‘대규모 코퍼스 분석’의 연구기법을 독어학 분야에 도입한 이민행(59) 연세대 교수가, 자연과학기초부문에서는 20여년 동안 전 세계 수학자들이 풀지 못했던 ‘K3곡면의 사교 유한대칭군의 분류 문제’를 해결한 금종해(61) 고등과학원 교수와 식물체의 환경 스트레스 면역 연구를 내놓은 이상렬(61) 경상대 교수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또 고추 유전체 염기서열을 완성한 최도일(53) 서울대 교수도 자연과학응용부문 수상자에 이름을 올렸다.
시상식은 17일 서울 서초구 대한민국학술원에서 개최되며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시상한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안종현 연세대 교수
대한민국학술원상은 1955년부터 현재까지 252명의 수상자를 배출한 국내 학술계에서 가장 오래된 상이다.
자연과학응용부문에서 수상한 안 교수는 2010년 세계 최초로 접히고 휘어지는 터치패드인 ‘플렉서블(유연한) 그래핀 터치 패널’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관련 논문을 ‘네이쳐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했다.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은 흑연에서 떼어낸 전기 효율이 높은 물질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에 쓰이며 2~3년 내에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안 교수의 논문은 지난 7년간 인용지수가 5000번에 달하는 세계 최상위 논문 중 하나로 평가된다.
사회과학부문 수상자인 김병연(56) 서울대 교수는 그동안 단편적으로 연구된다는 지적을 받아 온 북한경제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 교수의 대표 저서 ‘북한 경제 베일을 벗기다’는 직접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북한의 현 경제 상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이 저서는 영국 캠브리지대 출판부에서 영문으로 출간하기도 했다.
인문학부문에서는 인공지능 번역기의 기술로 쓰이는 ‘대규모 코퍼스 분석’의 연구기법을 독어학 분야에 도입한 이민행(59) 연세대 교수가, 자연과학기초부문에서는 20여년 동안 전 세계 수학자들이 풀지 못했던 ‘K3곡면의 사교 유한대칭군의 분류 문제’를 해결한 금종해(61) 고등과학원 교수와 식물체의 환경 스트레스 면역 연구를 내놓은 이상렬(61) 경상대 교수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또 고추 유전체 염기서열을 완성한 최도일(53) 서울대 교수도 자연과학응용부문 수상자에 이름을 올렸다.
시상식은 17일 서울 서초구 대한민국학술원에서 개최되며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시상한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8-09-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