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순건의 과학의 눈] 사회와 공감하는 성숙한 과학 생태계

[남순건의 과학의 눈] 사회와 공감하는 성숙한 과학 생태계

입력 2018-08-20 20:52
수정 2018-08-20 22: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사람이 과학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되는 이유는 호기심 때문이다. 호기심은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본성이라 여겨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남순건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남순건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별이 어떻게 떠 있고 움직이는가 하는 호기심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상력을 발휘하는 과정에서 현재와 같은 문명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순수한 호기심을 통해 자연의 이치를 알게 되었고 이런 이치를 활용하는 과정에 인간은 몸이 할 수 있는 것을 훨씬 넘어선 생산력을 갖게 되었으며 현대 문명을 꽃피운 것이다.

인류 문명 초기에는 호기심에 대한 답으로 종교나 정치적인 권위를 앞세운 비이성적, 비논리적인 설명을 사람들에게 강요하기도 했다. 그러나 점차 이성과 논리를 통해 보다 많은 질문에 대한 대답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여기에 이어지는 심층적인 질문을 만들어낼 수 있음을 알게 됐으며 이러한 과정이 결국 과학 연구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과학 연구의 결과물은 과학적 세계관으로 자리잡게 됐다. 또 과학에 의한 각종 혜택을 얻게 되고 자연적 제약에서부터 자유로워진 사회는 과학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게 됐다.

그런데 과학이 호기심에만 의존해 발전할 수 있을까? 사회는 이런 형태의 과학을 계속 지원할 수 있을까? 이런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인간이 갖고 있는 또 다른 본성을 생각하게 된다.

바로 최근 많이 강조되고 있는 ‘공감’이다. 여러 심리학 연구에 의하면 인간에게는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있다.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은 인간의 공감적 본성을 강조했고 공감적 인간 ‘호모 엠파티쿠스’의 세계는 현재의 무한경쟁의 삭막한 세상을 협력적 공유 사회로 바꿀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과학계도 사회와의 관계에서 공감력이 점점 더 필요해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사회문제에 대해 공감하는 눈을 가져야 하고 사회 역시 과학의 여러 가치와 문제에 대한 공감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더이상 사회적 이슈를 멀리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면서 사회의 지원을 기대하는 과학을 넘어 인간과 사회의 보다 큰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과학으로 성숙해야 한다. 공감을 통한 사회의 자발적 지원을 기대해야 한다는 말이다. 사회는 단순히 과학이 낳는 경제적, 기술적 이득만을 요구하고 있지는 않다. 보다 풍성한 문화의 일부분으로서 과학에 대한 기대도 크다.

따라서 앞으로 과학을 할 사람들의 소양은 현재 판단기준에서 많이 바뀌어야 한다. 이미 답이 있는 수학문제 몇 개 더 잘 풀고 남이 이미 해결해 놓은 과학문제를 잘 푸는 것보다는 샘솟는 호기심으로 기존의 권위에 이성적, 논리적으로 과감히 맞설 수 있는 용기가 있어야 한다. 여기에 오랫동안 집중할 수 있는 체력과 다른 사람의 가치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이 과학을 해야 한다.

건강한 과학적 생태계의 필요성을 보고 만드는 데 일조할 사람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과학의 이성적 판단에 공감을 하지 못하는 사회에는 비이성적 불신이 자라날 수 있고, 사회의 구성원들과 공감하지 못하는 과학계는 기형적으로 변하게 될 것이다. 그렇기에 과학하는 사람만 있는 학교에서의 교육보다는 보다 다양한 사람이 있는 환경에서 미래 과학도들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호기심, 공감력에 바탕을 둔 건강한 과학 생태계가 만들어져야 보다 풍성한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2018-08-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