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나는 몸이로소이다/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나는 몸이로소이다/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8-08-08 17:44
수정 2018-08-08 17: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지금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나는 몸이로소이다’라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제목만 보면 홍사용의 ‘나는 왕이로소이다’가 연상된다. 그러나 이 시가 발표된 1923년과 가까운 시기의 우리 몸과 말에 관한 이야기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어문팀장
110여년 전 우리나라 최초로 한글로 된 해부학 교과서가 번역된다. 제중원의 ‘해부학’(1906년). 한국 첫 근대식 병원인 ‘제중원’ 의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책이었다. 일본 해부학자 이마다 쓰카누의 ‘실용해부학’을 당시 의학생이던 김필순이 번역하고, 제중원 의학교수 올리버 애비슨이 교열했다. 오늘날 일상어가 된 ‘복근’, ‘승모근’, ‘이두박근’에서부터 ‘세포, 연골, 인대, 신경, 망막’ 같은 말들이 이 책에 나온다. 전통 의학에서는 신경 쓰지 않았고, 살피지 않았던 것들이었다.

이렇게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서양의학은 몸에 대한 우리말과 생각을 바꿔 간다. 이때까지 몸과 마음은 ‘하나’였지만, ‘별개’이기도 한 것이 된다. 말이 달라지면서 일상도 변해 갔다. 전시회는 10월 14일까지.

2018-08-09 2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