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바나의 땡볕에 등짝이 너무나 뜨거워 직립보행했다는 설도
사바나의 땡볕에 등짝이 너무나 뜨거워 견딜 수 없어 햇빛이 닿는 표면적을 줄이려고 직립보행했다는 주장도 있다.
짜장면? 짬뽕? 산으로 갈까? 바다로 갈까? 딱히 정확한 대답을 하기보다는 그때그때 호·불호를 적당히 밝히면 되는 질문들이다. 여름이 좋아? 겨울이 좋아? 도 이런 유의 질문에 속하는 것일 텐데 100년 만에 찾아온 무더위에 지칠 대로 지쳐 이번 여름을 나는 우리에게는 별 의미가 없는 질문이 아닐까 싶다. 어서 더위가 끝나고 찬 바람이 불기만을 간절히 바라고 있을 테니까 말이다.
이번 더위를 견디면서 내년에도 이렇게 더우면 어떡하지? 기후가 정말 변하는 모양이구나! 하는 막연한 불안감이 생기곤 한다. 하지만 인류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보면 진화는 결국 끊임없이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는 과정이었다. 때로는 더위에, 때로는 추위에 적응하는 과정은 고단하고 힘든 과정이었다. 인류가 두 발로 일어서게 된 것은 작렬하는 사바나의 땡볕에 등짝이 너무나 뜨거워 견딜 수 없어 햇빛이 닿는 표면적을 줄이기 위해서라는 주장도 있다. 올여름 뜨거운 햇볕을 온몸으로 받아본 경험을 상기해 볼 때 그럴법한 생각도 든다.
추위에 적응하는 것, 더위에 적응하는 것 어느 쪽이 더 수월했을까? 둘 다 그리 쉬운 과정은 아니었다. 더위에 적응하는 것은 체질적인 진화를 통해 추위에 적응하는 것은 주로 문화적인 진화를 통해서 가능했다. 더위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두 발로 일어선다든지, 몸을 호리호리하게 하는 등 우리 몸의 체질적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방식이 더 필요했다. 그래서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다.
추위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불의 사용은 물론이고, 대형동물을 사냥하기 위해 정교하게 다듬어진 석기, 동물 가죽을 꼼꼼히 꿰매 바람을 이겨내는 두꺼운 옷을 만들기 위한 귀 달린 바늘 등 새로운 발명과 혁신이 필요했다. 추위가 절정에 달하던 빙하시대는 인류역사상 생존이 가장 어려운 시대였지만 문화적인 진화를 통해 빙하시대의 추위와 두려움을 이겨낸 인류는 마침내 전지구상에 퍼져 살 수 있게 되었다. 추위는 시련이었지만, 동시에 기회의 시간이기도 했다. 인류가 농경 생활을 시작하게 된 것도 결국은 후기구석기시대 말기의 빙하기가 가져온 환경변화 때문이었다. 그래서 더워지는 것이 문제다. 지금까지의 생존방식에 혼란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번 여름에는 지금까지 와는 다른 더위가 찾아왔다. 사실 에어컨을 빼고는 더위에 맞설 수 있는 뾰족한 수가 없다. 옷을 벗어도 소용이 없다. 딱히 숨을 곳도 없다. 차라리 겨울이 낫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찬란한 인류문명을 외쳐대지만, 기후변화에는 그저 나약한 존재일 뿐이다. 기후는 서서히 변화한다. 하지만 인류가 저지르는 환경파괴는 지구온난화를 가속한다. 그나마 적응할 수 있는 시간조차 빼앗긴다. 미래를 준비할 수 없게 만든다. 올여름 극심한 더위를 겪으면서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에 대한 두려움이 생겼다면 그나마 다행이다. 오늘도 용감하게 ‘아이스아메리카노 테이크아웃!’을 외치는 우리 입에서 이번 겨울에 차라리 더운 게 낫다는 소리가 나오지 않길 바랄 뿐이다.
글: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