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두진 건축가
이후 청계천 고가도로는 별다른 사회적 저항 없이 사라졌다. 철거 직전 ‘시민 걷기대회’가 열리고 하류에 몇 개의 교각이 남았다. 지금 같았으면 어땠을까? 제3의 대안을 찾거나 상당한 논의가 진행됐을 것이다. 그만큼 시대가 달라졌다. 서울역 고가도로가 철거되지 않고 서울로로 변신한 것도 이러한 변화의 결과다.
근대의 역사가 그 나름의 두께를 갖기 시작하면서 그 흔적들이 시대의 유산으로서 많은 관심과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중 근대 건축유산에 대한 보존과 활용의 노력이 시작된 것은 이미 오래전이다. 그러나 산업유산에 대해서는 좀 다르다. 건축유산은 원형 자체가 아름다운 경우가 많지만, 산업유산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정확히 말해 산업유산의 고유한 미학에 대한 경험과 이해의 폭은 건축유산에 비해 현저히 좁은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우리가 근대화를 어떤 시각으로 보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산업유산을 다루는 방식은 보통 세 가지다. 그 하나는 용도가 끝났으면 그냥 철거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황에 따라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모든 산업유산이 살아남을 수는 없다. 당연히 사라지는 것이 있게 마련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충실한 기록을 남겨 후대에 전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하나는 기존 산업유산의 성격을 그대로 긍정하고 그 실물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다른 쓸모를 찾아내는 것이다. 그 사이에서 적절한 긴장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원래 정수시설이었던 선유도 공원, 쓰레기 소각장이 문화예술 공간이 된 부천아트벙커B39 등 좋은 평가를 받는 사례들이 대체로 여기에 해당한다. 이 경우 보존의 비율을 높이는 것은 국제적으로도 큰 관심사다.
마지막으로는 원형을 일단 ‘흉물’로 규정하고 여기에 다른 성격을 덧씌우는 방식이 있다. 언젠가부터 유행하고 있는 소위 벽화 작업이 여기에 해당한다. 산업유산뿐 아니라 오래된 마을, 혹은 건물을 페인트 그림으로 치장하는 사연이 이것이다. 한때 김포공항 관제탑은 꽃무늬로 덮였고 대학로 벽화마을의 계단에는 잉어가 하늘로 올라가고 있었다. 최근 인천항의 한 곡물 사일로는 책을 주제로 한 초대형 슈퍼그래픽의 캔버스가 됐다. 이런 사례는 워낙 많고 당연히 그 평가도 다양하다. 그러나 산업유산의 입장에서 보면 이것은 고유의 성격을 인정하지 않고 다른 것으로 대체하는 행위다. 즉 원래의 느낌을 불가역적으로 지우거나 가리는 것이다. 아무리 원형은 ‘흉물’이고 결과물은 ‘명물’이라고 주장해도 여전히 무거운 질문이 남는다. 그것은 결국 역사에 대한 질문이다.
우리에게 산업화란 무엇이었나? 그것은 민주화와 함께 근대화의 한 축으로서 엄청난 사람들의 헌신과 희생을 필요로 했던 우리 모두의 경험이다. 그 과정에서 만들어졌던 산업유산의 흔적과 그것이 갖는 실물의 가치는 쉽게 지워 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만약 그렇다면 이것은 근본적으로 우리의 역사를, 그리고 우리 자신을 부정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100년 전 근대건축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르코르뷔지에는 비행기, 배, 사일로 등 산업 장비와 시설을 영감의 원천으로 삼았다. 그는 순수하고 강렬하며 꾸밈 없는 새로운 미학의 가능성을 여기서 찾았다. 어렵게 살아남은 우리의 산업유산 또한 바로 그러한 시대의 산물이다. 그들에게 자기 고유의 모습을 지우고 다른 무엇처럼 보이라고 강요한다면 우리에게 근대, 그리고 근대사란 없다.
2018-06-27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