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열의 메디컬 IT]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적정 의료와 스마트폰

[이상열의 메디컬 IT]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적정 의료와 스마트폰

입력 2018-05-28 20:46
수정 2018-05-28 2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상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이상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필자는 지난 칼럼부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적정 의료’를 위한 몇 가지 요소를 소개하고 있다. 미래 의학이 예측과 예방, 개별화, 참여의 4가지 요소로 재편될 것이라는 전문가 의견에 대체로 동의한다. 질병 발생 전 앞선 예측과 환자들의 능동적 참여로 적정 의료가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기술의 속성상 그 혜택을 일찍 누리기 위해 사용자는 상당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하지만 일부 신기술은 확산·보급 상황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혜택을 보편적으로 누릴 수 있다. 필자는 이런 기술이 바로 미래의 적정 의료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적정 의료 요소에는 무엇이 있을까. 지난 칼럼의 빅데이터에 이어 ‘스마트폰’을 적정 의료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본다. 스마트폰이 등장한 뒤 불과 10여년 남짓한 짧은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일상생활은 그 이전과 비교해 놀랄 만한 수준으로 바뀌었다. 스마트폰의 성공에는 단순한 무선 전화의 속성을 넘어서는 ‘휴대용 컴퓨터’의 막강한 기능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의 신속한 보급에 대규모 기간시설 투자가 필요한 유선 통신망 대신 적은 비용으로 많은 사용자에게 확산시킬 수 있는 무선 정보통신 인프라의 장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초기 스마트폰은 가격이 비싸 누구나 쉽게 사용하기 어려웠지만 최근 기술 발달과 대량 생산으로 가격이 크게 낮아져 일부 기기는 무료에 가깝게 구입할 수 있게 됐다. 이런 사실은 스마트폰이 첨단 기술임에도 ‘적정 기술’로 경제성과 보편성을 갖게 됐음을 의미한다. 스마트폰 보급 여파가 기존에 어느 정도 인프라를 갖춘 선진국에 비해 후진국과 신흥 개발도상국에서 더 폭발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스마트폰의 유용성은 이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입증됐다. 필자 역시 다수의 관련 분야 연구를 수행해 왔다. 필자가 속한 연구팀은 2010년 스마트폰 기반의 당뇨병 관리 애플리케이션(앱)을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해 보급했다. 소규모 연구였지만 우리는 당뇨병 관리 앱이 사용자의 당뇨병 자가 관리 지표를 의미 있게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후 우리는 체중관리 앱 개발 스타트업과 연계해 체중관리 앱의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몇 가지 연구를 수행했다. 특히 앱의 데이터를 위치, 날씨, 대기오염 등 다른 차원의 데이터와 연계해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하다는 사실도 새로 입증했다. 이제 당뇨병, 비만 등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스마트폰의 유용성은 더이상 새로운 뉴스가 되지 못한다.

연구의 영역을 넘어 이제 스마트폰은 제도권 의료 영역에 뿌리내리려 한다. 만성 질환에 대한 국내외 주요 진료 지침에 스마트폰 기반 장비의 임상적 유용성이 ‘근거 있음’으로 속속 채택되고 있다. 내년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대한당뇨병학회의 새로운 진료 지침에도 이런 내용을 포함할지 논의를 심도 있게 진행하고 있다.

연구자이기 전에 임상가로서 스마트폰 기반 기술의 의학적 활용에 아직 신중을 기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믿고 있다. 개인 정보 보호, 장비 간 호환성, 근거 수준의 편차, 문제에 대한 책임, 아직은 기계가 완전히 대신할 수 없는 의료진과 환자의 관계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문제가 보편성, 범용성, 경제성을 갖춘 적정 기술로서 스마트폰의 활용 가능성을 폄훼하지는 못한다. 오히려 앞으로 그 가치는 더욱 커질 것으로 확신한다.
2018-05-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