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 전파담’ 로버트 파우저… “한국서 출세 도구인 영어습득 필요없는 때 온다”
“한국 사람들은 출세하려 영어를 열심히 공부합니다. 그런데 들이는 돈이나 시간에 비해 효과는 적죠. 안타까운 일입니다.”외국어의 전파 과정을 시대별로 좇은 ‘외국어 전파담’의 저자 로버트 파우저 전 서울대 교수가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외국어의 역할이 어떻게 바뀔지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다 2014년 미국으로 돌아갔던 그는 외국어 전파 경로를 탐색한 저서 ‘외국어 전파담’(혜화 1117)을 들고 최근 한국을 찾았다. 그는 책에 관해 “언어학자로서의 그동안 호기심을 정리했다”고 설명했다. 문자가 탄생한 시대부터 중세 유럽, 왕정 시대,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외국어의 전파 과정을 면밀히 추적하고 분석했다. 그 결과 외국어는 단지 개인의 호기심이나 필요 때문이 아니라 시대의 권력에 따라 전파되고 시대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고 결론 내렸다. 중세 종교의 확산, 상업활동 활성화, 근대국가 등장, 자본주의 출현, 제국주의 확산에 따라 외국어는 파도처럼 나아갔다. 지금 세계적으로 맹위를 떨치는 영어에 관해 “19세기 영국 제국주의와 산업혁명에 따라 전파된 영어를 미국이 쓰면서 급속도로 확산했고 미국과 유럽연합이 세계 경제를 주도하면서 명실상부 세계 공용어가 됐다”고 밝혔다.
책은 외국어 전파의 역사와 함께 외국어 학습 방법의 변화상도 함께 훑었다. 한국에서 논란이 일었던 조기 영어교육에 관한 내용도 흥미롭다. 고교를 졸업하고도 제대로 영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우리로선 눈이 커질 만하다. 그는 자신의 외국어 공부 경험을 돌아보며 “외국어는 흥미를 느끼고 집중해 공부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한국은 영어를 ‘공부해야만 하는 과목’으로 설정하고 초·중·고에 걸쳐 나눠 가르친다. 이런 방식으로 공부하다 보니 고교를 나와서도 일정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리러닝’(re-learning)만 한다는 지적이다.
“전 세계 외국어 교육은 19세기 말부터 이미 읽기·쓰기 중심에서 말하기로 바뀌었는데 한국은 최근에야 초등학교에서부터 말하기 중심 교육으로 바뀌는 추세입니다. 게다가 중·고교에서 영어 교육은 여전히 읽기와 쓰기 중심입니다.”
일부 사립초가 실시해 논란을 부른 영어몰입교육에 관해서는 “말하기 교육은 12살 이전에 집중적으로 하는 게 효과적”이라며 옹호하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한국의 지금 상황에서 여러 부작용을 부르기 때문에 고민해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에서 영어는 출세의 도구이기 때문에 사립초에서만 실시하는 조기 영어몰입교육은 일종의 ‘특권’이나 마찬가지”라며 기회균등 차원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가 차원의 집중적인 조기 영어교육은 어떨까. 그는 고개를 저으며 “인공지능(AI) 시대가 다가오는데 그런 교육을 왜 하느냐”고 되물었다.
“인공지능의 발달로 앞으로는 글은 물론이고 말도 실시간으로 번역하는 서비스가 나올 겁니다. 지금까지의 도구로서 영어 습득은 필요 없는 시대가 옵니다. 취미나 관심, 그리고 대면 소통을 중시하는 업무에서나 외국어가 쓰일 겁니다. 배우는 목적이 세분화하고, 결국 외국어 공부는 취미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8-05-17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