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열의 메디컬 IT]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적정 의료와 빅데이터

[이상열의 메디컬 IT]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적정 의료와 빅데이터

입력 2018-04-30 21:00
수정 2018-04-30 2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상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이상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최근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신조어가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의 클라우스 슈바프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을 ‘디지털 혁명’으로 정의했다. 그는 1차 혁명은 기계화, 2차 혁명은 전력 사용, 3차 혁명은 정보기술과 자동화가 특징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은 다양한 영역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기술의 융합을 특징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적정 기술’이란 무엇일까. 바로 자원의 낭비가 적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통해 구현하는 경제성 높은 기술이다. 보통 저개발국, 개발도상국에서 적은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하는 수단에 적정 기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사실 4차 산업혁명과 적정 기술이라는 용어는 양립하기 어려운 개념이다. 왜냐하면 4차 산업혁명에서 다루는 기술은 대부분 높은 가치에도 불구하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공의 이익 측면에서 우리는 낮은 비용으로 높은 효율을 추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높은 가치를 가진 첨단 기술이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적정 기술이라고 생각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적정 의료는 무엇일까. 필자는 미래 의학의 핵심 키워드로 잘 알려진 ‘P4 메디슨’에 그 핵심이 내포돼 있다고 생각한다. 미래 의학을 ‘예측’(Predict), ‘예방’(Prevent), ‘개별화’(Personalize), ‘참여’(Participate)의 4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는 의미의 용어다. 우리는 질병 발생 전 선제적 예측과 예방을 통해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 개별화된 치료와 환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통해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 적정 의료에 구체적 사례가 있을까. 가장 먼저 ‘빅데이터’를 언급하고 싶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람이 만들어내는 정보의 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최근 의료 기록이 전산화되면서 의학 관련 정보의 양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의료 빅데이터 연구는 바로 이런 정보를 분석해 새로운 지식을 얻고, 이를 질병의 이해와 환자 진료에 응용하는 분야다.

의학 연구에서 빅데이터는 질병의 역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특정 질환의 위험 인자를 확인하는 데 활용한다. 아울러 고위험군의 질병 발생 위험을 예측하고 특정 치료의 임상적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사용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머신러닝(기계학습) 등 새로운 수단을 분석에 활용해 정확성이 대폭 향상됐다.

전통적 의학 연구의 관점에서 이렇게 얻는 정보는 ‘관찰 연구’의 범주에 포함된다. 관찰 연구는 ‘무작위 대조 연구’에 비해 근거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빅데이터 기반 연구는 무작위 대조 연구보다도 그 정보의 양과 다양성이 압도적이다. 많은 연구자들은 빅데이터가 실제 보건의료의 의사 결정 과정에 사용 가능한 데이터로 높은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빅데이터와 관련한 컴퓨팅 기술의 가격이 하락해 적정 기술로서 중요한 가치를 갖게 됐다.

국내 전문가들은 이런 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많은 학회에서 발간하는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 보고서는 이런 노력의 대표적 사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각 병원의 의무기록을 공통 구조로 데이터화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노력이 현실화되면 여러 병원 환자들의 데이터를 더욱 손쉽게 모으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2018-05-0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