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일로도 돈을 벌 수 있다는 걸 직접 증명하고 싶어요”
한쪽 팔과 한쪽 다리가 살짝 짧은 ‘진저브레드맨’(생각으로 향을 낸 사람 모양의 과자). ‘그대로 괜찮은 쿠키’라는 이름의 이 쿠키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상징한다. 모양이 익숙하지 않을 뿐 똑같이 맛있는 쿠키라는 사실을 통해 장애는 다름일 뿐 틀림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지난 크리스마스 시즌에 크라우드 펀딩으로 목표 매출액(100만원)의 1000%를 달성한 ‘그대로 괜찮은 쿠키’가 올해 장애인의 날(4월 20일)을 맞아 다시 세상에 나왔다. 이 캠페인을 기획한 김동길(27)씨와 김장한(27)씨를 지난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두 사람은 “지난해 11월 초 ‘모양이 조금 다른 쿠키’로 장애인들의 추운 겨울을 위로하고 싶었다”며 운을 뗐다. 지역 주민들에게 특수학교 설립을 호소하며 무릎까지 꿇은 어머니들의 사연이 화제가 된 지 약 두 달 만의 일이었다.
동길씨는 “흉내가 아니라 비유라는 게 중요했다”면서 “쿠키를 볼 때 ‘조롱의 표현 아니냐’는 시선이 있을까봐 오래 고민했다”고 했다. 실제로 원래 캠페인을 함께 진행하기로 했던 한 장애인재단은 실행 하루 전날 거절 의사를 밝혔다. 팔과 다리가 짧은 쿠키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우려된다는 이유였다. 우여곡절 끝에 한국장애인재단이 “이런 쿠키 모양이 민감하게 받아들여지는 것 자체가 문제“라는 취지에 공감하면서 쿠키가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
결과는 성공이었다. 2017년 12월 1일부터 약 2주간 진행된 펀딩에서 재료비를 뺀 수익금 전액인 488만원은 함께 캠페인을 진행한 한국장애인재단에 기부했고 장애 아동들과 함께 크리스마스 파티도 열었다. 이 캠페인은 지난해 호응에 힘입어 올해도 장애인의 날(4월 20일)을 맞아 3월 26일부터 오는 4월 27일까지 시즌2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 중이다.
두 사람은 캠페인을 통해 대중의 편견을 깨는 작업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2016년 8월 리우 패럴림픽 때는 지하철에 홍보 스티커를 붙여 패럴림픽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고 ‘세상이 투표로 바뀔 리 없다’는 편견을 깨기 위해 선거 독려 캠페인도 진행했다.
현재 두 사람은 미혼모와 실종 아동과 관련한 캠페인을 구상 중이다. 특히 두 사람은 연간 200여명의 아기가 유기된다는 베이비 박스에 주목했다. 동길씨는 “미혼모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미혼모는 자신의 아이를 키우는 대신 버리는 것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두 사람은 스스로를 캠페인 크리에이터라고 규정한다. 다음달 초엔 D-1이란 이름의 공익 캠페인 스타트업을 창업해 강남구 청년창업지원센터에 입주할 예정이다. 그들의 D-Day(디데이)는 자신들의 캠페인으로 세상이 변하는 날이다. 장한씨는 “점점 더 나아지는 내일을 기대하는 오늘이라는 의미”라면서 “바뀔 수 있고 바뀔 거라는 희망을 이름에 담고 싶었다“고 했다.
두 사람이 캠페인을 통해 언젠가 꼭 바꾸고 싶은 사회의 한 단면은 무엇일까. 장한씨는 “대한민국의 속도를 늦춰보고 싶다”면서 “우리 사회엔 ‘몇 살엔 취직을, 또 그 후엔 결혼을 해야 한다’는 암묵적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시간이 있다. 하지만 모두에겐 각자 다른 꿈이 있고 그에 맞는 속도도 다 다르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대학교 졸업반인 두 사람은 안정된 직장을 찾아야 하는 사회의 속도 대신 스타트업 창업, 그것도 ‘돈이 될까’ 싶은 공익 캠페인에 뛰어들었다. 막연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없는지 궁금했다. 이 질문에 대해 장한씨는 “수익이 나서가 아니라 결국 수익이 돼야 하는 일이기에 시작했다”면서 “공익적인 일도 돈이 되는 생태계를 만들고 싶다”고 답했다. 동길씨도 “착한 일로도 돈을 벌 수 있다는 걸 증명하고 싶다”면서 “우리 뜻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면 결국 세상은 바뀌지 않을까”라며 포부를 드러냈다.
이근아 기자 leegeunah@seoul.co.kr
한쪽 팔과 한쪽 다리가 살짝 짧은 ‘진저브레드맨’(생각으로 향을 낸 사람 모양의 과자). ‘그대로 괜찮은 쿠키’라는 이름의 이 쿠키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상징한다. 모양이 익숙하지 않을 뿐 똑같이 맛있는 쿠키라는 사실을 통해 장애는 다름일 뿐 틀림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대로 괜찮은 쿠키’
‘그대로 괜찮은 쿠키’를 만들면서 웃고 있는 김장한(왼쪽), 김동길씨
‘그대로 괜찮은 쿠키’ 제공
동길씨는 “흉내가 아니라 비유라는 게 중요했다”면서 “쿠키를 볼 때 ‘조롱의 표현 아니냐’는 시선이 있을까봐 오래 고민했다”고 했다. 실제로 원래 캠페인을 함께 진행하기로 했던 한 장애인재단은 실행 하루 전날 거절 의사를 밝혔다. 팔과 다리가 짧은 쿠키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우려된다는 이유였다. 우여곡절 끝에 한국장애인재단이 “이런 쿠키 모양이 민감하게 받아들여지는 것 자체가 문제“라는 취지에 공감하면서 쿠키가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
결과는 성공이었다. 2017년 12월 1일부터 약 2주간 진행된 펀딩에서 재료비를 뺀 수익금 전액인 488만원은 함께 캠페인을 진행한 한국장애인재단에 기부했고 장애 아동들과 함께 크리스마스 파티도 열었다. 이 캠페인은 지난해 호응에 힘입어 올해도 장애인의 날(4월 20일)을 맞아 3월 26일부터 오는 4월 27일까지 시즌2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 중이다.
두 사람은 캠페인을 통해 대중의 편견을 깨는 작업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2016년 8월 리우 패럴림픽 때는 지하철에 홍보 스티커를 붙여 패럴림픽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고 ‘세상이 투표로 바뀔 리 없다’는 편견을 깨기 위해 선거 독려 캠페인도 진행했다.
현재 두 사람은 미혼모와 실종 아동과 관련한 캠페인을 구상 중이다. 특히 두 사람은 연간 200여명의 아기가 유기된다는 베이비 박스에 주목했다. 동길씨는 “미혼모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미혼모는 자신의 아이를 키우는 대신 버리는 것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두 사람이 함께 진행한 선거독려캠페인. ‘투표로 세상이 바뀔 리 없다’는 문구가 기표소 모양의 천을 들면 ‘세상이 바뀔 리가 왜 없어’란 문구로 바뀐다.
김장한, 김동길씨 제공
김장한, 김동길씨 제공
두 사람이 캠페인을 통해 언젠가 꼭 바꾸고 싶은 사회의 한 단면은 무엇일까. 장한씨는 “대한민국의 속도를 늦춰보고 싶다”면서 “우리 사회엔 ‘몇 살엔 취직을, 또 그 후엔 결혼을 해야 한다’는 암묵적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시간이 있다. 하지만 모두에겐 각자 다른 꿈이 있고 그에 맞는 속도도 다 다르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대학교 졸업반인 두 사람은 안정된 직장을 찾아야 하는 사회의 속도 대신 스타트업 창업, 그것도 ‘돈이 될까’ 싶은 공익 캠페인에 뛰어들었다. 막연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없는지 궁금했다. 이 질문에 대해 장한씨는 “수익이 나서가 아니라 결국 수익이 돼야 하는 일이기에 시작했다”면서 “공익적인 일도 돈이 되는 생태계를 만들고 싶다”고 답했다. 동길씨도 “착한 일로도 돈을 벌 수 있다는 걸 증명하고 싶다”면서 “우리 뜻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면 결국 세상은 바뀌지 않을까”라며 포부를 드러냈다.
이근아 기자 leegeuna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