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식의 거듭나기] 한국 문화는 중앙박물관에서

[최준식의 거듭나기] 한국 문화는 중앙박물관에서

입력 2018-04-15 22:24
수정 2018-04-15 2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나는 요즘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물에 대해 책을 쓰고 있다. 이 책을 쓰게 된 배경이 있다. 가끔 내게 강연 부탁이 오는데 그때 당사자는 종종 ‘우리가 좀 긍지를 느낄 수 있는 내용으로 해달라’고 부탁한다.

이 말을 들을 때마다 나는 어이가 없었다. 한국 문화에 긍지를 느낄 수 있는 게 얼마나 많은데 또 긍지 타령인가? 왜 한국인들은 이렇게 자신의 문화에 자신감이 없을까? 한국이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선진국이 된 것도 그렇고, 세계 최고의 문자를 쓰고 있는 것도 그렇고 자랑할 거리가 얼마나 많은가. 그런 확실한 증거가 있는데도 한국인들은 자국 문화에 긍지를 느끼지 못한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한국인들에게 문화적인 자긍심을 심어 줄 수 있을까를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그랬더니 아주 좋은 방법이 생각났다. 용산에 있는 중앙박물관을 심층적으로 보는 것이다. 어느 나라건 중앙박물관은 그 나라 문화의 최고 상징이다. 그 나라 문화의 최고만 모여 있는 곳이 그곳이다.

우리 중앙박물관에는 세계적인 명품이 수두룩하다. 그런데 사람들이 잘 가지 않는다. 일전에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에서 자원봉사 일을 했던 아들아이와 함께 중앙박물관에 간 적이 있었다. 그런데 관람객이 얼마 없는 것을 보고 아들아이가 깜짝 놀라면서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은 항상 사람이 많은데 여기는 왜 이리 한산하냐고 되물었다.

실제로 우리 박물관에는 사람이 별로 없다. 주말에는 그래도 사람이 많은데 그것은 과외로 한국 역사 공부하러 오는 어린이들이 많이 오기 때문이다. 사설 학원의 강사가 일군의 아이들을 데리고 다니면서 주입식 교육을 하는 것이다. 그 어린이들이 없는 주중에 가면 아주 한가하게 그 명품들을 감상해서 좋은데 너무 관람객이 없어 공연히 미안한 마음마저 든다.

나는 박물관 갈 때마다 내 눈을 의심한다. 믿기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훌륭한 작품들이 이리도 가까운 데에 있으니 말이다. 지하철을 타고 이촌역에 내려 잠깐만 걸어가면 인류 역사에 길이 남을 명품들을 수두룩하게 만날 수 있다. 게다가 입장료도 없다. 그래서 나는 이 작품들을 볼 때마다 황송하다 못해 미안한 마음이 든다.

그런 예를 수도 없이 들 수 있지만 3층 독방에 전시돼 있는 ‘미륵반가사유상’만 보자. 이 불상은 일본 교토 광륭사에 있는 목조미륵반가유상과 자매 같은 것으로 두 불상 모두 세계적인 조각품이다. 일본 것에 대해서는 20세기 서양의 최고 철학자 가운데 한 명인 야스퍼스가 극찬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는 유럽에서 본 어떤 성상(聖像)보다 이 불상이 뛰어나다고 칭송했다.

우리 것도 그런 세계적인 수준이다. 그런데 주중에 가서 보면 그 방에 사람들이 별로 없다. 그래서 관람하기에는 아주 좋다. 그러나 동시에 이런 인류의 걸작을 내가 혼자만 보는 현실이 믿기지 않아 몸 둘 바를 몰라 한다. 아무 때나 지하철 타고 와서 공짜로 봐도 되나 하는 생각과 함께 말이다. 나는 가 보지 못했지만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모나리자 그림은 사람들이 항상 많이 있어 제대로 못 본다고 한다.

그런데 중앙박물관에 있는 수많은 명품 앞에는 사람이 별로 없다. 신라 금관 앞에도 없고 고려청자나 조선백자 앞에도 사람들이 없다. 왜 한국인들은 중앙박물관에 잘 가지 않는 것일까?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우선 자국 문화에 대한 무관심이 가장 큰 이유일 게다. 또 하나는 박물관에 가더라도 무엇을 어떻게 보아야 할지에 대한 적절한 안내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내가 중앙박물관에 있는 명품들만 골라 아주 쉬운 소개서를 쓰려고 마음먹은 것이다. 그것도 단 2시간 안에 볼 수 있게 말이다. 그렇게 1층 선사실부터 3층 백자실까지 훑으면 한국 문화에 대한 자긍심은 가지지 말라고 해도 자동으로 생긴다. 그런 의미에서 중앙박물관에 사람들이 넘쳐나길 바랄 뿐이다.
2018-04-1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