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출처 확실한 ‘금동반가사유상’ 영월 신라시대 절터서 첫 발견

출처 확실한 ‘금동반가사유상’ 영월 신라시대 절터서 첫 발견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04-03 22:48
업데이트 2018-04-04 0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세기 번창한 흥녕선원지

높이 15㎝로 손바닥 크기
휴대용 추정… 연대 규명 중

오른쪽 다리를 왼쪽 무릎 위에 걸치고 오른쪽 손가락은 살짝 뺨에 댔다. 잔잔한 미소를 띤 채 골똘히 명상에 잠겨 생각에 잠겨 있는 모습이 전형적인 반가사유상의 모습이다. 얼굴은 원형에 가깝고 머리에는 삼면이 돌출된 삼산관을 썼으며 상의는 걸치지 않았다.
금동반가사유상
금동반가사유상
강원 영월에 있는 신라시대 절터에서 발견된 성인 손바닥만 한 금동반가사유상의 자태다. 3일 강원 영월군과 강원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강원 영월 흥녕선원지(강원도 기념물 제6호) 건물터에서 최근 높이 15㎝, 폭 5㎝ 크기의 금동반가사유상이 발견됐다. 기존에 확인된 금동반가사유상의 경우 출토지가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은 것과는 달리 이번에 발견된 불상의 경우 그 출처가 명확하다. 크기가 작아 사찰에 봉안하지 않고 휴대한 것으로 추정된다.

강원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기존 금동반가사유상의 제작 시기는 대부분 삼국시대인 6~7세기로 확인되는데, 이 불상이 출토된 건물지는 9~10세기 유적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불상의 정확한 제작 시기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불상이 출토된 흥녕선원지는 자장율사(590∼658)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징효대사(826∼900)에 의해 크게 번창했다. 진성여왕 4년(891)에 전쟁으로 불에 타 없어져 고려 혜종(943) 때 다시 세웠으나 계속되는 재해로 폐허가 되고 현재는 터만 남아 있다.

강원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이번에 발굴된 불상 얼굴 뒤쪽에 살짝 돌출된 부분이 보이는데 장식품을 꽂았던 흔적으로 보이며, 국보 제83호 금동반가사유상에도 이 같은 흔적이 있다”며 “현재 비파괴 검사를 통해 금동의 성분만을 확인한 상태로 추가 연구를 통해 유물의 주조 기법과 도금 방법 등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4-04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