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왜 ‘미투의 온상’ 됐나
교수·학생 ‘주종·위계’ 관계 형성가해자 지목돼 목숨 끊은 두 교수
“제자와 친밀했다고 착각” 지적도
대학가가 ‘미투의 온상’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다. 성폭력 가해자로 지목돼 안타깝게 스스로 목숨을 끊은 두 사람 모두 교수 신분으로 부적절한 행위를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하루가 멀다 하고 전국 곳곳의 대학에서 미투 폭로가 쇄도하고 있다. ‘학문의 요람’이라 불리는 대학 내에 왜 성범죄가 똬리를 틀게 된 것일까.
대학에서 교수와 학생 사이에 일종의 ‘주종관계’가 형성된 것이 불미스러운 일이 잦게 한 첫 번째 원인으로 지적된다. 학생들은 “교수가 절대적 권력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학생의 학점뿐만 아니라 졸업, 그리고 진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교수들의 부적절한 발언과 행위에 대해 그 누구도 문제 제기를 할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된다. 문제 제기를 했다가 교수의 눈 밖에 나면 꿈이 한순간에 좌절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번진다. 또 교수가 이제 갓 성인이 된 대학생에게 우월한 존재, 멘토, 모델로 인식된다는 점도 성폭력에 노출되기 쉬운 이유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강태경 대학원노조 부위원장은 “교수는 지위상 우위에서 군림하고 ‘학점’ 등을 무기로 학생들과 위계 관계를 형성한다”고 말했다.
교수들의 남성 우월주의적 사고, 학교 측의 솜방망이 징계가 원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택광 경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아직도 ‘남존여비’ 인식에 사로잡혀 있는 교수들이 많다”면서 “힘이 있는 교수들은 문제를 일으켜도 넘어가고 왕따인 교수들만 징계를 받는 모습도 여전하다”고 말했다.
교수들의 낮은 성인식도 성폭력에 눈감게 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교수들이 자신의 말에 고분고분 따르는 제자와 친밀감이 형성됐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교수들도 제자와 친밀한 관계였다거나 교육의 일환이라고 생각한 것 같다”면서 “교수와 학생은 친밀한 관계 이전에 위력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수들에게 ‘펜스룰’을 지키라는 것은 아니지만 늦은 밤 학생들과 따로 보거나 1대1 지도를 하는 것을 가급적 피하고 언행을 조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2018-03-2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