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대화 충분한 여건 조성…北, 예년 수준 한미 훈련 이해”

“북미 대화 충분한 여건 조성…北, 예년 수준 한미 훈련 이해”

입력 2018-03-06 21:36
업데이트 2018-03-06 2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6일 1박2일간의 대북특사단 방북 성과에 대해 ”남북 정상이 한반도 평화 정착과 남북 관계 발전에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별사절대표단을 이끌고 평양을 방문해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 면담한 정 실장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이번 방북이 한반도 평화정착과 남북 관계 발전의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다음은 정 실장 모두 발언 및 언론과의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후 청와대에서 대통령 특사로 북한을 방문한 뒤 귀환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2018.3.6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후 청와대에서 대통령 특사로 북한을 방문한 뒤 귀환한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2018.3.6
청와대 제공
청와대에 오자마자 대통령에게 (방북 결과를) 보고했을 텐데 대통령 평가와 이에 대한 구체적 지시 사항은.

-대통령은 이번 방북 결과에 대해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하셨고 앞으로 남북 간에 합의한 내용을 차질 없이 이행하도록 노력하라고 지시하셨다.

김정은 위원장이 북·미 대화에 복귀하겠다고 한 구체적 발언을 소개해 주실 수 있나. 그리고 정상 간 핫라인을 개통한다고 했는데 북한이 외교무대에 정상적으로 복귀한다는 뜻인가.

-김 위원장 언급을 구체적으로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북한이) 북·미 대화에 적극적으로 임할 용의가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혔고, 북·미 대화의 의제로 비핵화도 논의할 수 있다. 특히 저희가 주목할 만한 것은 (김정은 위원장의) ‘비핵화 목표는 선대의 유훈이다’(라는 발언이다). 선대의 유훈에 변함이 없음을 분명히 밝혔다. (북한은) 북·미 관계의 정상화도 논의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대화 국면으로 나올 때 뭔가를 요구할 것이라는 관측을 했는데 특별히 북한이 요구한 것이 있었나.

-북한에서 특별히 대화에 나오기 위해서 우리나 다른 국가에 요구한 것은 없다. 대화 상대로서 진지한 대우를 받고 싶다는 의사는 밝혔다.

 북측이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밝히면서 그 조건으로 군사적 위협 해소를 말했다. 북한이 구체적으로 뭐라고 했나.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북한 체제의 안전이 보장된다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한·미 군사훈련에 대해서는 예년 수준으로 진행되는 데 대해 북측은 연례적이고 방어적 성격의 훈련이라는 점을 이해했다.

이번 합의로 미국에 북·미 대화에 임할 것을 설득할 만한 요건이 갖춰졌다고 보나. 미국과 러시아, 중국은 언제쯤 방문하나.

-미국은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갈 예정이다. 이번 주 중으로 갈 것 같다. 일정을 조율 중이다. 이어서 중국, 러시아 방문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별도로 방문한다.

이번 방북 결과로 북·미 대화가 시작될 여건이 됐다고 보나.

-미국과는 물론 대화를 해봐야 좀더 정확하게 말씀을 드릴 수 있지만, 북·미 대화를 시작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이 조성돼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이나 트럼프 대통령을 어떻게 평가했나.

-문 대통령에 대해서 상당히 신뢰를 가진 것으로 그렇게 언급했다. 1월 1일 신년사에서 남북 관계 발전에 관한 획기적 제안을 한 후 여러분이 잘 아시듯 60일 동안 남북 간 관계는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고 저희는 평가하고 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