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당선작-당선소감] 글 위에서 헤매던 길… 이제 글을 써도 된다는 허락같이 느껴져

[2018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당선작-당선소감] 글 위에서 헤매던 길… 이제 글을 써도 된다는 허락같이 느껴져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12-31 17:16
수정 2017-12-31 18: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철주

언제부턴가 글 쓰는 일이 두려워졌습니다. 말은 미끄러지고 생각은 멈춰섭니다. 요즘은 글 위에서 자주 길을 잃습니다. 안개에 둘러싸인 채 우두커니 혼자 서 있곤 합니다. 한참을 그러고 나서야 제 안에서 길 잃고 헤매는 문장들을 가까스로 알아봅니다. 그런데 이름이 생각나지 않습니다. 어떻게 불러야 할지 몰라 무작정 따라 걸었습니다. 무던히도 오래 걸었던 모양입니다. 안개도 어둠도 여전한데, 그 긴 혼곤도 그대로인데, 12월의 끝자락에 분에 맞지 않는 당선 소식을 들었습니다.
이미지 확대
이철주씨
이철주씨
이제 글을 써도 된다는 어떤 허락같이 느껴져 설레고도 무서웠습니다. 여전히 전 길 헤매는 일을 업으로 삼고 있는 사람입니다. 문학을 사랑한다고 자신 있게 단언할 수 있는 사람도 못 되며, 두꺼운 추억을 펼쳐 낼 만큼 삶에 치열했던 적도 없었습니다. 다만 문장과 문장 사이에 놓인 아득한 거리에 자주 눈을 빼앗겼고, 그 맹목이 만들어 낸 죄책감에 숱하게 걸려 넘어졌을 뿐입니다. 어떻게 하면 좀더 섬세히 삶과 글의 심연을 헤맬 수 있을지 고민하고 정진하라는 뜻으로 이 허락의 무게를 이해하려 합니다.

성글고 부족하기만 한 제 글의 가능성을 믿어주신 심사위원 선생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무엇보다 끊임없는 응원을 아끼지 않았던 경희대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연구실 동학들과 정확하고 엄밀한 언어로 글쓰기의 모범을 보여 주셨던 이선이 교수님, 평론이 생소하기만 했던 제게 평론적 언어와 감각에 대해 가르쳐 주신 남승원 선생님께 머리 숙여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그리고 어머니. 이 모든 것은 당신이 흘린 눈물로 지어낸 것입니다. 사랑이라고 밖엔 말할 수 없는 나의 소중한 사람들에게 당선의 영광을 돌립니다.

■이철주 ▲1985년 평택 출생 ▲경희대 한국어학과 졸업 ▲경희대 대학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박사 수료

2018-01-01 3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