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은해
꿈이라면, 제발 깨지 말기를 기도합니다. 시조라는 글 감옥에 갇혀 신춘문예의 늪을 헤쳐 나오기까지의 시간은 참으로 멀고도 멀었습니다. 함께 공부하던 사람들이 더러는 당선의 영예를 안고, 더러는 자신의 모자람을 안고 하나둘 떠나갈 때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제 자신이 부끄러웠습니다.장은해 2018 서울신문 신춘문에 시조 당선자
거세게 퍼붓던 눈발이 그치고 차갑지만 밝은 햇살이 온 누리를 비추는 날, 당선 통보를 받았습니다. 제 속에 쌓여 있던 어둠의 빛깔이 일시에 밀려나는 기분입니다. 열정을 이기는 나이는 없다고들 합니다. 그 교과서적인 금언을 제 스스로 증명한 것 같아 뿌듯합니다. 창작의 길 위에서 모자람은 있었지만 게으름을 피우진 않았습니다. 열심히만 한다고 다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겠지만 부족한 재능을 그렇게라도 충원하고 싶었습니다. 이 열정만은 앞으로도 굳건할 것입니다.
부족한 작품을 선뜻 뽑아 주신 심사위원 선생님들께 고개 숙여 감사를 드립니다. 누군가의 자리를 대신한다는 책임감을 가지겠습니다. ‘이제 그만!’을 외치면서도 뒤에서 지켜봐 준 남편께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민족시사관학교 윤금초 교수님, 그리고 임채성 시인께 이 영광을 돌리고 싶습니다. 열심히, 더 열심히 쓰겠다는 다짐을 여러 지인과 주님 앞에 올립니다.
■장은해 ▲1946년 서울 출생 ▲총신신학대 졸업
2018-01-01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