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 포커스] 디지털 딜레마, 영화 보존의 과제/류재림 한국영상자료원장

[금요 포커스] 디지털 딜레마, 영화 보존의 과제/류재림 한국영상자료원장

입력 2017-12-28 22:30
수정 2017-12-28 22: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류재림 한국영상자료원장
류재림 한국영상자료원장
영화 산업이 필름에서 디지털로 완전히 바뀌었다. 국내에서는 2013년 봉준호 감독의 ‘설국열차’를 마지막으로 더이상 필름으로 제작된 영화가 없다. 해외에서는 여전히 필름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가 있으나 제작 공정 전반이 디지털화된 것은 꽤 오래전부터다. 한때 수많은 스크린을 수놓았던 필름이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영화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이 영화 제작과 배급, 상영과 관람에 있어 편리함을 가져다준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특히, IPTV나 온라인 VOD, 모바일 등 극장 외에 다양한 영화 관람 창구가 생겼다는 것은 디지털 기술의 편의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혹자는 영화의 보존(archiving) 역시 디지털 기술로 인해 간소화되고 편리해졌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제작되는 모든 영화를 보존 관리하고 이를 후대에 물려주어야 하는 공적 임무를 지닌 한국영상자료원의 입장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마냥 반길 일이 아니다.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 영상자료원은 여러 가지 이유로 ‘디지털 딜레마’에 빠져 있다.

우선, 디지털 기술의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 영상의 보존 방식을 단정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게문제다. 예컨대 20년 전 3.5인치 플로피 디스크가 파격적으로 선보였을 당시 이를 보존 매체로 단정하여 대규모 투자를 했다면 어땠을까. 아마도 10년 뒤 외장 하드와 USB가 등장하면서 대대적인 시설, 장비에 대한 재투자를 해야만 했을 것이고, 다시 5년 뒤 클라우드 기술이 등장하면서 또 다시 막대한 비용과 노력을 들여 보존 방식을 바꿔야 했을 것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상영 기술 역시 보존과 함께 고민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영화는 박제될 때가 아닌 관객과의 만남을 통해 비로소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상영 기술의 구형화로 작품 감상이 어려워진다면 영화를 보존하는 작업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까. 후대에도 언제든 작품과 세상이 만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려면 항상 보편적인 저장 매체를 탐색하고 기존 데이터를 이에 적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디지털 저장 매체는 매우 불안정하다. 누구나 한번쯤 컴퓨터로 문서 작업을 하다가 에러로 인해 애써 작업한 문서를 통째로 ‘날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런 아찔한 경험은 영상자료원이라고 피해 갈 수는 없다. 디지털 저장 매체는 그 편의성에 비해 안정성 측면에서 취약하다는 약점이 있는 것이다. 지진 등 천재지변으로 물리적 충격이 가해질 경우 필름에 비해 디지털 자료의 손실 위험은 상당히 크다.

이러한 이유로 동일한 자료를 각기 다른 공간에서 보관하는 이원(二元) 보존이 필수이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발생한다. 한국영상자료원에 축적된 디지털 자료의 용량은 4.5 페타바이트(1페타바이트가 1000테라바이트)이며, 2017년 한 해에만 제작된 한국 영화는 400편을 훌쩍 넘었다. 현재 영화 한 편당 디지털 용량이 1.5테라바이트(TB) 정도이나 나날이 개선되는 영상 화질로 미루어 볼 때 향후 축적될 데이터의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은 분명하다. 이에 반해 데이터 복본(複本)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예산과 인력은 한정적이며, 이 때문에 모든 데이터에 대해 복본을 하나씩 생성하는 것조차 쉽지 않은 작업이다.

영화는 당대의 사회, 문화와 생활 풍습, 시대정신을 가장 잘 보여주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한국영상자료원은 문화 유산으로서의 영화를 온전히 보존하기 위해 디지털 영상 매체의 급변과 데이터의 무한 증식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다.

2019년, 한국 영화는 탄생 100주년을 맞는다. 지금 디지털 자료에 대한 안전하고 올바른 보존 방식을 고민하고 과감한 연구와 투자를 하지 않는다면 다가올 100년간 미래 세대가 짊어져야 할 비용과 노력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마음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2017-12-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