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언론에 소개된 ‘대학생이 뽑은 10년 후 유망직업’ 관련 기사를 읽었다. 대학생들은 향후 10년 뒤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꼽았다. 다음으로 ‘의사, 간호사 등 의학계 직업’을 선택했다.
이런 결과는 학생들이 스마트폰, 인터넷 등 최근 수년간 눈부신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구 고령화로 인한 의료서비스 수요 증가를 매우 긍정적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학생들도 이미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윤곽을 어렴풋이 짐작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요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 봤다. 디지털 헬스케어란 ICT를 활용해 인간의 건강을 개선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지털 헬스케어는 대학생들이 향후 10년간 앞으로 가장 유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두 가지 직업의 특성을 모두 공유하고 있는 분야다.
이쯤 되면 어느 누구라도 이 분야가 가진 엄청난 잠재력과 관련 시장 진출 뒤 뒤따라올 성공의 기회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조사기관별 추정치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향후 5년간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해마다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에는 전 세계 시장 규모가 10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이 분야에 진출한 역사가 길다. 제품 개발, 임상시험, 시장 개척 등 다방면에 걸쳐 축적한 견실한 인프라뿐 아니라 오랜 기간 경륜을 축적한 전문가 수준 역시 상당하다. 우리나라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 역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필자를 비롯한 많은 전문가들은 당장 우리나라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이 성장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무엇 때문일까.
얼마 전 대한병원협회에서 주최한 ‘U헬스케어 및 ICT 의료 서비스 육성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 패널로 참석했다. 토론회는 지금까지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발전 과정과 앞으로의 산업 활성화를 위한 주제 발표와 토론 중심으로 진행됐다.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이용 환경이 척박해 관련 기술과 산업을 성공적으로 보급하거나 정착시킬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지적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가장 큰 걸림돌로 경직된 건강보험 제도를 거론했다. 현재 보험 체계상 우리나라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사용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급받기 어려워 시장 확대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거라는 판단이다. 제도 개선과 규제 완화를 위한 정부의 전향적 검토가 절실한 상황이다.
필자는 여기에 더해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의 저변 확대를 위해 장기간 사용에 대한 효과 입증과 소요된 비용 대비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근거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의 단기 사용 효과는 수많은 연구를 통해 상당 부분 입증돼 있다. 하지만 시스템을 수년간 사용해 임상적 효과를 분석한 연구 데이터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각종 질환 영역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체적 비용 추산, 투입한 자원 대비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는 여전히 자료가 부족하다. 근거 중심 의료의 관점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사용의 정당성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를 좀더 활발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상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이런 관점에서 요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 봤다. 디지털 헬스케어란 ICT를 활용해 인간의 건강을 개선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지털 헬스케어는 대학생들이 향후 10년간 앞으로 가장 유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두 가지 직업의 특성을 모두 공유하고 있는 분야다.
이쯤 되면 어느 누구라도 이 분야가 가진 엄청난 잠재력과 관련 시장 진출 뒤 뒤따라올 성공의 기회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조사기관별 추정치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향후 5년간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해마다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에는 전 세계 시장 규모가 10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우리나라는 어떤가.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이 분야에 진출한 역사가 길다. 제품 개발, 임상시험, 시장 개척 등 다방면에 걸쳐 축적한 견실한 인프라뿐 아니라 오랜 기간 경륜을 축적한 전문가 수준 역시 상당하다. 우리나라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 역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필자를 비롯한 많은 전문가들은 당장 우리나라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이 성장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무엇 때문일까.
얼마 전 대한병원협회에서 주최한 ‘U헬스케어 및 ICT 의료 서비스 육성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 패널로 참석했다. 토론회는 지금까지의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발전 과정과 앞으로의 산업 활성화를 위한 주제 발표와 토론 중심으로 진행됐다.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이용 환경이 척박해 관련 기술과 산업을 성공적으로 보급하거나 정착시킬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지적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가장 큰 걸림돌로 경직된 건강보험 제도를 거론했다. 현재 보험 체계상 우리나라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사용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급받기 어려워 시장 확대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거라는 판단이다. 제도 개선과 규제 완화를 위한 정부의 전향적 검토가 절실한 상황이다.
필자는 여기에 더해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의 저변 확대를 위해 장기간 사용에 대한 효과 입증과 소요된 비용 대비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근거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의 단기 사용 효과는 수많은 연구를 통해 상당 부분 입증돼 있다. 하지만 시스템을 수년간 사용해 임상적 효과를 분석한 연구 데이터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각종 질환 영역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체적 비용 추산, 투입한 자원 대비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는 여전히 자료가 부족하다. 근거 중심 의료의 관점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사용의 정당성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를 좀더 활발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
2017-10-1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