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통화스와프, 사드 여파 딛고 연장될까

한·중 통화스와프, 사드 여파 딛고 연장될까

장세훈 기자
입력 2017-09-13 22:44
업데이트 2017-09-14 0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늘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 회의

한·중 64조 약정 새달 10일 만기
의제 미포함…비공식 논의 가능성


한·중·일 중앙은행 총재가 한자리에 모여 경제 현안을 논의한다. 한·중 현안인 통화스와프 연장 문제는 일단 공식 의제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저우샤오찬 중국 인민은행 총재,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공식 회의를 하루 앞둔 13일 인천 송도에서 저녁식사를 함께했다. 이강원 한은 금융협력팀장은 “14일 회의에서는 글로벌 및 3국의 최근 경제 및 금융 동향과 관련해 의견을 주고받을 것”이라면서 “한·중 통화스와프는 의제에 들어 있지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중 스와프 연장이 ‘발등의 불’이라는 점에서 두 나라 총재 간에 비공식적인 의견 교환이 이뤄질 가능성은 높다. 스와프 만기는 다음달 10일로,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통화스와프는 위기 때 바로 꺼내쓸 수 있다는 점에서 ‘마이너스 외환통장’으로 불린다. 우리나라는 중국과 외화 유동성 위기가 생기면 64조원(약 3600억 위안) 규모의 위안화나 달러화를 융통하기로 약정을 맺었다. 중국도 같은 조건으로 우리나라에서 원화나 달러화를 가져갈 수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협정을 맺은 뒤 지금까지 두 차례 연장했다.

중국은 지난해 4월 주요 20개국(G20) 회의 때 세 번째 연장에 원론적으로 찬성했지만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둘러싼 갈등이 표면화된 지난해 말 이후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고 있다. 한·일 역시 최대 70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를 유지하다 외교적 갈등이 불거지면서 2015년 2월 협정을 끝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7-09-14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