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합의 없이 끝난 한·미 ‘탐색전’… 김현종 “FTA 폐기 언급 없어”

합의 없이 끝난 한·미 ‘탐색전’… 김현종 “FTA 폐기 언급 없어”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7-08-22 18:12
업데이트 2017-08-22 2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韓 “호혜적” vs 美 “불균형” 팽팽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 특별회기가 22일 서울에서 열린 가운데 양측은 아무런 합의 없이 입장 차만 확인한 채 끝났다. 김현종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한·미 FTA 효과, 미국 적자의 원인, 한·미 FTA 개정 필요성 등에 대해 서로 이견이 존재함을 확인했다”며 “향후 일정을 포함한 어떤 합의에도 도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김현종(영상 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등 한·미 FTA 대표 협상단이 22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영상회의를 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김현종(영상 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등 한·미 FTA 대표 협상단이 22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영상회의를 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김 본부장은 이날 한·미 FTA 공동위 특별회기 회의 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미국 측의 일방적인 한·미 FTA 개정 제안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이렇게 말했다. 개정 협상은 협정문(22조 7항)에 따라 두 나라가 합의해야 가능하다. 미국의 요구로 40일 만에 열린 특별회기는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8시간 정도 진행됐다. 미국 측 수석대표인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협상을 이유로 참석하지 않아 30분간 김 본부장과 영상회의를 진행했고 이어 고위급 대면 회의가 이뤄졌다.

미국 측은 조속한 한·미 FTA 개정 및 수정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본부장은 “미국 측은 한·미 FTA 발효 이후 미국의 상품 수지 적자가 두 배 이상 늘었다며 자동차, 철강, 정보기술(IT) 분야 무역불균형 해소를 주장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자동차 원산지 검증 등 각종 FTA 이행 이슈를 해소해 달라고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대한 무역적자는 2011년 133억 달러에서 지난해 277억 달러로 늘었다.

 이에 대해 우리 측은 FTA가 상호 호혜적인 이익의 균형이 잘 맞춰져 있다며 미국 무역수지 적자 원인 등에 대해 양측 전문가의 공동 조사와 평가를 갖자고 제안했다.

 김 본부장은 “한·미 FTA가 대미 무역수지 적자의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객관적 논리와 근거를 들어 설명했다”며 “미국 측 무역적자의 원인을 먼저 따져보는 게 필요하고 공동 조사에 대한 미국 측 답을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차기 회의 일정에 대해서는 정해진 게 없다며 “우리 페이스대로 답을 갖고 대응해 가면 된다”며 ‘급할 게 없다’는 인상을 줬다.

 폐기(termination)란 단어는 나오지 않았다. 김 본부장은 “폐기란 단어를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다만 가능성은 열어두고 폐기되면 미측에도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본부장은 개정 협상을 통해 한·미 FTA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 “TPP를 검토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 본부장은 라이트하이저 USTR 대표에 대해 “상당한 경험과 경륜을 가진 통상 협상가”라고 평가했다. 올해 취임한 두 사람은 모두 미국 최대 법률회사인 ‘스캐든’ 출신으로, 다양한 국제 협상 경험이 있고 ‘노련한 공격형’이라는 점에서 불꽃 튀는 두뇌 싸움이 예상된다.

 고위급 대면회의에서는 스캐든 등 대형 로펌 출신의 제이미어슨 그리어 USTR 비서실장이 미국 측 대표로, 우리 쪽에서는 예전 협상 당시 서비스·경쟁분과장을 맡았던 국내 여성 통상전문가 1호인 유명희 FTA 교섭관이 대표로 나섰다.

 안덕근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미국이 무역적자를 앞세워 상당히 변칙적이고 합리적이지 않은 요구를 해 올 공산이 크다”면서 “미국이 내년 선거 등 정치 일정을 고려해 조기 성과를 거두려고 빠르게 진행하는 NAFTA와 달리 한·미 FTA는 미국 기업들조차 이해관계가 다르고 북핵 문제 등 한·미 공조 균열로 인한 표심 분열도 생길 수 있어 좀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7-08-23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