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대우교수
그는 한국, 일본, 중국을 하나의 연방으로 만들어 서구 열강의 침략에 대항하기를 바랐다. 동양 3국이 서로 평화를 보장하며, 단일한 경제, 군사공동체를 구성해 길이 번영하기를 소망했다. 그는 마지막까지도 이처럼 원대한 계획을 주밀하게 구상했다. 실로 고원한 경지였다. 보통 사람 같으면 이토 히로부미를 증오했다 해도 사살하기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설사 운이 좋아 일이 성사됐더라도 일제의 모진 고문과 회유책에 휘둘리기 십상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안중근은 저들의 모든 기도를 부끄럽게 만들었다. 그때 안중근은 30을 갓 넘긴 청년에 불과했으나, 그의 심지는 강철 같았다. 이것은 결코 물리적 힘이 아니었다. 독서와 성찰의 시간을 통해 끊임없이 내면을 연마한 결과라고 볼 수밖에 없다.
조선시대에는 끝내 충성스런 마음을 잃지 않은 선비들이 많았다. 모진 고문과 형장(刑杖)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꺾이지 않았다. 제아무리 간교한 술수를 부려 꾀어도 그들은 넘어가지 않았다. 불요불굴의 혼이요, 선비다운 삶의 완결이었다. 누구라도 사나운 매질이 두렵고, 죽기보다 무서운 것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청년 안중근 같은 선비들이 적지 아니 존재했다. 멀리는 청나라 심양에 끌려가서도 지조를 잃지 않고 죽음을 달게 받은 ‘삼학사’들이 있었다. 가까이는 일제의 끝없는 회유와 협박, 모진 고문에도 불구하고 한마디의 거짓말도 하지 않았던 도산 안창호 선생이 있었다. 그들의 이름은 서로 달랐으나 뜻으로 보면 하나였다.
그것이 참된 선비의 운명이었다. 선비를 선비답게 만든 것은 무엇이었을까. 평소 그들이 사랑한 책의 힘이었다. 권력과 금전의 유혹에서 벗어난 선비를 만들고, 물리적인 힘으로도 꺾지 못할 강단을 만든 것이 바로 책이었다니! 이야기가 너무 비장해진 것 같아서 미안한 생각이 들 지경이지만, 독서의 힘이 그처럼 강했다는 사실은 여간 놀라운 일이 아니다.
내가 말한 책이란 오락을 위한 가벼운 것이 아니었다. 요리나 가사 등의 실용서도 아니었다. 돈 벌기 위한 처세서도 아니었다. 일상의 현실적 요구와는 거리가 먼 책들이었다. 안중근을 포함한 지조 있는 선비들을 사로잡은 책들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인간의 도리를 설명하고, 삶의 목적을 말하며,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온 내력을 기록한 책이었다. 요새 말로 문학과 역사와 철학을 다룬 인문서적들이었다. 올여름에는 우리도 이런 책을 좀 읽어 보자. 혼탁한 이 세상이 달라져도 조금은 달라지지 않겠는가.
2017-07-31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