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해례본 낙장 2장 복원한다

훈민정음 해례본 낙장 2장 복원한다

입력 2017-07-09 22:22
수정 2017-07-10 00: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간송미술관본 보정한 앞쪽 부분 70년 만에 오류 수정 정본 제작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국보 제70호 훈민정음 해례본의 낙장(落張) 2장이 70여년 만에 제대로 복원된다.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국보 제70호 훈민정음의 낙장 첫 부분(왼쪽)과 낙장 마지막 부분(오른쪽 페이지). 연합뉴스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국보 제70호 훈민정음의 낙장 첫 부분(왼쪽)과 낙장 마지막 부분(오른쪽 페이지).
연합뉴스
문화재청은 9일 훈민정음 해례본 정본(定本)을 제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본은 원본에 가장 가깝게 만들어져 연구나 인용 시 표준이 될 수 있는 책을 말한다. 이를 위해 문화재청은 지난달 29일 연구용역 입찰을 공고했다.

해례본은 한글 창제 목적과 제자 원리 등을 담고 있어 ‘무가지보’(無價之寶)로 평가된다. 세종이 창제 취지를 직접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과 음가·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등 앞쪽 4장, 집현전 학사들이 제자 원리와 자모 체계를 자세히 설명한 뒤쪽 해례(解例) 29장으로 구성되는데, 간송 전형필(1906~1962)이 1940년 경북 안동에서 발견할 당시 표지와 앞쪽 2장이 없는 상태였다.

또 전형필이 안동 진성이씨 이한걸 가문으로부터 해례본을 사들이는 과정에서 이한걸의 셋째 아들 이용준과 그의 은사 김태준 명륜전문학교(옛 성균관대) 교수가 유실된 앞쪽 2장을 만들어 넣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훈민정음의 어제 서문과 예의가 나와 있는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과 훈민정음을 한글로 풀이한 언해본을 바탕으로 내용을 재구성했고 세종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글씨는 서예에 능했던 이용준이 본문 뒤쪽을 참고해 쓴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이 참고한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은 임진왜란 직후 급하게 제작되어 오류가 적지 않았기 때문에 이후 잘못 들어간 글자, 잘못 찍힌 구두점 등 앞쪽 2장에 대한 오류를 주장하는 한글학자들이 잇따랐다. 외솔 최현배는 해례본을 접하고는 앞쪽 2장이 원본이 아니며 서문의 마지막 글자가 ‘의’(矣)가 아니라 ‘이’(耳)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번 정본 제작을 놓고 학계에서는 훈민정음 관련 연구가 많이 축적됐고 기술이 발달한 만큼 오류를 바로잡을 좋은 기회라는 평가가 나온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7-1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