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비 인하안 국정기획위 보고
현 月3만원대 요금제 300MB 데이터 ‘평균 사용량’ 기준 제공정부에 통신료 설계권 방안도… 추혜선 의원은 ‘2GB안’ 발의
미래창조과학부는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 ‘보편요금제’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한 가계통신비 인하 방안을 19일 보고했다. 보편요금제란 음성과 문자는 ‘무제한’으로 주고 데이터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평균 사용량’을 기준으로 제공하는 요금제를 의미한다. 금액은 2만원대가 논의되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미래부 보고받는 국정기획위
이개호(오른쪽 두 번째)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경제2분과위원장이 19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국정기획위 대회의실에서 미래창조과학부의 통신비 인하 관련 업무보고를 받기에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맨 오른쪽은 최민희 국정기획위원.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연합뉴스

시민단체 “통신비 원가 공개하라”
미래창조과학부가 가계 통신비 인하 관련 업무보고를 한 19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앞에서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통신비 원가 공개 등을 주장하며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미래부는 이날 통신비 인하 방안을 실행이 가능한 순서에 따라 단기·중기·장기 과제로 나눠 보고했다.


개정안대로라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모두 여기에 부합하는 요금제를 1개 이상 만들어야 한다. 추 의원은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평균 데이터 사용량을 감안해 데이터 트래픽을 포함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보편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취지”라고 밝혔다.
미래부는 이날 통신요금 설계권을 정부가 갖도록 법을 개정하는 방안,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기본료를 폐지하는 방안, 공공와이파이 확대 방안 등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개호 국정기획위 경제2분과 위원장은 이날 미래부 업무보고에 앞서 “기본료 문제는 2G와 3G 이외에 정액요금제에 기본료에 해당하는 요인이 있는지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며 “데이터 이용료를 보편적으로 인하하는 방안과 공공 와이파이 확충에 대해서도 이동통신 3사의 자율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국민 부담을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국정위는 조속한 시일 안에 통신비 인하 이행 방안과 추진 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며 “우선 당장 이행 가능한 방안, 내년에 할 일, 그 이후의 과제들을 단계별로 정리해서 보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김용수 미래부 제2차관을 비롯해 양환정 통신정책국장 등이 참석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7-06-2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