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정 시인
아시아 여자인 게 어때서, 내가 어딜 봐서 테러범처럼 생겼냐, 이놈의 땅덩이 내 다신 오나 봐라, 그랬던 작심은 간 데 없고 이내 나는 입국 대기 줄 끝에 서서 사방팔방 사람 구경하는 재미에 흠뻑 빠지고 말았다. 정말이지 다양한 인종에 다양한 스타일을 자랑하는 사람들이 저마다 하나의 그림 같았고 책 같았고 나라 같았다. 그래 우린 이렇게 그 자체의 타고남만으로도 특별한 사람들이었지. 모아 놓으니 컬러풀한 색색의 조각보처럼 절로 아름다운데 왜 우리는 이 다름을 견디지 못하는 것일까. 사는 게 답답할 땐 공항에 머물다 오라고, 그곳에서 가는 사람과 오는 사람을 그저 지켜만 봐도 삶이 날 살게 한다고, 수업 시간에 한 학생에게 내가 했던 말이 떠오르는 순간이었다.
영국 시인과의 컬래버레이션은 시의 소통과 시의 불통이 다 시라는 품 안에서 수렴되는 일이라 시의 만만함과 시의 만만찮음을 다시 한번 경험하게 해준 것만으로도 내 안에 뜨거운 피돌기로 남았다. 며칠 밤을 런던의 한 호텔방에서 내 시와 영국 시인의 시를 쌀과 콩인 양 섞으면서 우리는 왜 시를 쓰는가 하는 문제로 골똘했다면 며칠 낮을 런던의 여러 거리를 걷고 또 걸으면서 우리는 왜 이러고 사는가 하는 문제로 골몰했다. 이상하지, 참 묘하지, 한국의 거리에선 사람보다는 간판이 먼저 읽히는데 영국의 거리에선 간판보다 사람이 먼저 보이다니. 물론 언어의 낯섦도 문제겠지만 나는 유행으로 규정하고 규격화시킬 수 없는 런던 사람들의 흩뿌려진 스타일에 주목했다.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우후죽순, 그러했다.
우후죽순. 말마따나 비가 온 뒤에 여기저기 돋아나는 죽순. 그 싱싱함과 그 생명력은 사실 건강함 그 자체가 아닌가. 여름 초입인데 탱크톱에 모피를 두르고 운동화를 신어도 누구의 시선 하나 쏠리지 않는 분위기. 그중 단연 압권은 청바지에 있었다. 거리 곳곳을 누비는 청바지의 스타일이라는 게 무지하게 다양해서 나는 그들 청바지들의 개성들을 휴대폰으로 찍어 모아 보기에도 바빴다. 누가 볼 게 뭐람, 누가 뭐라 할 게 뭐람, 내가 입으면 그만이고 내가 소화하면 그만인 걸.
당당하게 거리를 누비는 런던 사람들을 보면서 그간 유행 따라 청바지를 사고 유행지나 청바지를 처박던 내 눈치 봄이 상기되어 일순 우울해졌다. 옷으로 그득한 옷장 앞에서 매번 옷 없다 왜 투정이었을까. 어쩌면 내게 진짜 없던 건 옷이 아니라 자신감이 아니었나, 그 숨겼던 속내를 일순 들키는 심정이었다. 안 입는 청바지 꺼내 입어라. 너 보기에 역겨워도 나 보기에 좋으면 그게 참인 것이다. 영국 잘 다녀왔냐는 한 학생의 안부에 밑도 끝도 없이 이런 문자를 보냈던 나다.
2017-06-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