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의 성공’ 홍준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가 5·9 대선에서 패배한 가장 큰 원인으로는 ‘확장성 부족’이 첫 번째로 꼽힌다. 홍 후보가 선거 운동의 대부분을 ‘보수층 결집’에 할애하면서 중도층의 표심을 얻는 데 실패한 것으로 분석된다.홍 후보는 대선 후보 출마 때부터 ‘친북 좌파 심판’, ‘강성 귀족노조 척결’ 등 강경 일변도의 공약을 가감 없이 쏟아냈다. 홍 후보의 이런 ‘우편향’ 발언은 보수 지지자들에겐 적지 않은 ‘쾌감’을 선사했지만 중도·진보층에겐 불쾌감으로 다가갔다. 특히 ‘스트롱맨’ 이미지는 경쟁 후보 진영에 숱한 공격의 빌미를 제공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가 9일 서울 여의도 당사 개표 상황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선거 결과를 수용한다”는 발언을 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이와 함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정권교체’ 바람으로 애초부터 홍 후보의 낙선은 예견돼 있었다는 결과론적 해석도 나온다. 60일간의 보궐 대선 레이스가 본격화되면서 ‘탄핵 정국’이 ‘안보 정국’으로 전환되긴 했지만 이미 공고해져 버린 ‘문재인 대세론’을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것이다.
홍 후보가 비록 대선에선 패배했지만 그의 정치적 입지는 오히려 더욱 탄탄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번 대선 과정을 통해 보수의 새로운 구심점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서다.
사실 홍 후보는 이번 대선에서 ‘보수 주자’로서는 후순위에 불과했다. 1순위로 꼽혔던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귀국 2주 만에 불출마 선언을 했고 그다음 순위였던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도 출마를 고사했다. 이런 힘겨운 상황에서 홍 후보는 ‘성완종 리스트’ 사건과 관련해 2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으며 극적으로 대선에 뛰어들었고 4% 수준의 지지율에서 출발해 50여일 만에 크게 약진한 것이다.
이에 따라 향후 한국당 권력 지형이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계에서 친홍(친홍준표)계와 비홍계로 재편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친홍계는 이번 대선에서 홍 후보 캠프에 참여한 인사, 홍 후보의 특별지시로 복당된 비박계 의원들과 당원권 정지 징계가 해제된 친박계 의원들이 주축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다만 홍 후보는 대선 패배 직후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수면 아래에서 향후 정치 행보를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홍 후보는 향후 한국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또 10월 재·보궐 선거를 통해 5선 의원으로 원내에 입성하거나 내년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 선거에 출마할 가능성도 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7-05-1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